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가 두개있는 거북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거북이 탄생된다고 한다. 이 거북은 미국의 '폰차툴라' 농장에서 태어난 것으로 세계 여러
나라
에 구경거리로 순회여행중. 관람객들, 특히 어린이들은 이 거북을 보고 대단히 즐거워했다고 ... ...
실험실의 복병, 생물재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지역주민간의 저항력도 상이하기 때문이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
의 전문가들이 오랜 연구끝에 실험실안전관리의 기초가 되는 '한국에 있어서의 미생물의 위험도 평가기준'을 1987년에 완성했는데 그 내용은(표)와 같다.미생물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실험자나 보조자가 미생물에 ... ...
동상·저체온증·감기·낙상의 겨울철 4대질환 퇴치법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추위와 눈보라다. 특히 시베리아기단이 남진하고 대륙성기후가 맹위를 떨치는 우리
나라
에서 겨울을 나기란 그리 만만하지 않다.전세계의 기후를 연구하는 기상학자들은 북미와 유럽을 감싸는 근년의 이상저기온을 예사롭게 보지 않고 있다. 빙하기가 재차 올 것이란 경고로 보는 것이다. 물론 ... ...
얼음에 갇힌 세마리 고래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사진에 보이는 고래는 이른 바'캘리포니아 회식 고래.' 이들은 북극지역에서 살다가 초겨울에 멀리 캘리포니아해안까지 여행을 떠나며 그곳에서 출산을 ... 물속에 그대로 잠겼는데 학자들은 죽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고래구출작업은 세계 여러
나라
의 TV에 방영, 관심을 끌기도 했다 ... ...
양과 질에서 형편없는 한국의 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사정에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한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국립과학관의 김지문관장은 우리
나라
과학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무엇보다도 과학관이 지금보다 훨씬 많이 생겨나야 한다. 외국에는 국립, 공립, 사립 등 다양한 과학관이 세워져 있다. 일본 시즈오카에 있는 동해대학엘 갔더니 ... ...
종자산업이 미래를 좌우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위해 연구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추세다. 국내의 식물유전자원 보존현황우리
나라
의 식물유전자원에 대한 수집 보존은 1900년대초 작물의 육종을 시작한 이래로 품종보존의 형태로 미미하게 진행돼 오다가 실제로 종자의 보존관리에 관심을 크게 두기 시작한 것은 1974년 농촌진흥청에서 ... ...
미·소보다 강력한 원자로 발사계획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군사용에 이어 과학·상업용으로 앞으로 수백개의 원자로가 우주에서 작동될 것이다.미국과 소련은 앞으로 더많은, 더 강력한 원자력을 우 ... 우주정거장에서는 수백kw 또는 메가와트급의 동력을 필요로 하게 될것인데 불행히도 두
나라
모두 대량 동력에는 주로 원자력을 이용할 계획이다 ... ...
타자기에서 컴퓨터로 워드프로세싱은 PC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발매되는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들은 전용기가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을 할뿐만 이
나라
특정 전용기의 작동방법까지 모방(simulation)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PC용의 멀티메이트(Multimate) 프로그램은 왕(Wang) 워드프로세싱 전용기와 사용방법이 거의 같으며, 부분적으로는 뛰어난 기능을 갖추고 있다.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때문에 사라다의 맛은 볼 수 없었어요. 그러나 기술의 진보는 하루하루 달라졌으니 여러
나라
가 협력하면 이 계획은 반드시 실현된다고 봅니다"로마넨코는 자신이 있는 모습으로 이렇게 말했다. 그 실현을 향하여 지금 소련은 우주체재 3백65일의 기록에 도전하고 있다 ... ...
책제본공에서 대화학자가 도기까지 마이클 패러디의 위대한 생애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화학강좌의 티킷을 선물했던 것이다.험프리 데이비는 당시 최고의 화학자였을 뿐만 이
나라
왕립연구소에서 청중을 상대로 재미있는 화학강연과 화학실험을 하는 것으로 명성을 얻고 있었다. 또 그는 패러디가 그렇게 감명깊게 읽었던 '화학에 관한 대화'의 저자인 마르쎄부인에게 깊은 영향을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