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m 심해에서 사냥하는 코끼리바다표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심해어인 바늘치의 발광기관이 내는 희미한 빛의 파장과 같다. 남방코끼리바다표범의
눈
이 낮에는 앞을 잘 보지 못하는 대신 485nm 파장대의 빛에 가장 예민했던 이유가 밝혀진 것이다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은하단 충돌 사례를 발견했다. ‘아벨520(A520)’이라고 이름 붙은 이 은하단 역시 2007년,
눈
에 보이는 물질과 암흑물질이 극단적으로 다른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역시 암흑물질의 강력한 증거다.하지만 이 은하단 충돌 사건에는 덧붙여 설명할 내용이 있다. 왼쪽 분석 사진을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보기도 힘듭니다. 예전에 비해 결혼과 출산 연령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100세 시대가
눈
앞으로 다가왔지만 인류는 여전히 3세대가 같은 시대를 사는 후기 구석기 시대의 가족 구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할아버지 할머니와 손주가 한 데 모인 추석 풍경은 어쩌면 수만 년 동안 끊임없이 반복된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60~70년대에는 태풍 위에 ‘구름씨(빙정핵)’를 뿌리는 방법이 연구됐습니다. 태풍의
눈
을 둘러싼 구름벽 근처에 구름씨를 뿌려 태풍의 중심을 넓혀서 소멸시키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미국 해양대기청과 미해 군은 1969년 허리케인 ‘데비(Debbie)’에 씨를 뿌려 최대풍속을 30%나 줄이는 결과를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하지만 풀 때문에 곤란한 건 스텔스 탱크도 마찬가지일 거란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눈
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도 무성한 풀 사이를 아무 일 없다는 듯 유령처럼 달릴 순 없을 것이다.잠시 후 풀이 제 스스로 쓰러지는 신기한 광경이 펼쳐졌다. 풀이 쓰러지는 곳이 바로 스텔스 탱크의 현재 위치였다. ... ...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몸을 갉아먹는 셈이다. 장기적으로는 피로를 더 불러온다. 하지만
눈
앞의 성과 때문에
눈
꾹 감고 들이킨다. 마치 운동선수가 금지된 약물을 복용하는 ‘도핑’ 같다. 그래서일까. 한병철 교수도 ‘도핑사회’라는 말로 이런 사태를 예견하고 있다. 스스로를 소진시키는 우리의 결론이 스스로의 ... ...
[photo] 태고의 어둠 속에서 찾은 절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그러나 인간의 호기심과 모험심을 이기기는 어려웠다. 동굴은 마침내 용감한 탐험가들의
눈
앞에 오랫동안 숨겨 왔던 신비를 드러냈다. 영국의 탐험가이자 사진작가인 로비 숀도 그런 탐험가다. 그는 현재 오스트리아의 산악 마을에 살며 유럽은 물론, 중국, 파푸아뉴기니, 보르네오 등 세계 각지의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발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후두스’다. 낙타 모양처럼 생겨 관광객들의
눈
길을 사로잡는다.][➊ 로얄티렐박물관에서는 연구원들이 직접 공룡 화석을 발굴하는 장면을 유리창 너머에서 살펴볼 수 있다. ➋ 로얄티렐박물관 정문으로 들어가는 입구.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유기탄소로 바뀌는 과정이다. 태우면 다른 유독한 물질로 바뀔 뿐이이다.땅 속에 묻어서
눈
에 안 띄게 하면 된다고? 그렇지 않다. 바다로 흘러간 플라스틱이 있다. 이들은 둥둥 뜬 채 햇빛에 자태를 뽐내다 해류를 타고 전 지구를 여행한다. 2005년 유엔환경계획(UNEP)이 펴낸 자료에 따르면, 세계 바다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그물을 설치해 둔다. 튜브 하나의 굵기는 탄소원자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가늘어
눈
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강도가 철선보다 강력하다. 지금 기술로는 탄소나노튜브를 15mm까지밖에 만들 수 없지만 기술이 발달한 미래에는 탄소나노튜브 그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고온의 플라스마와 고에너지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