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우리의 '필름을 끊는' 위험 요소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억상실증은 현
대
문명이 낳은 또하나의 치유될 수 없는 병일지도 모른다.신경전달물질신경세포들 사이에는 5만분의 1mm 정도의 작은 틈이 있다. 이 틈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오가며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이 자극되면 세포내에서 ... ...
3. 해커막는 첨단 보안기술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CERT 팀 등이 상호 협조하에 적절한 보호
대
책과 기술을 개발해낼 것으로 기
대
된다.마지막으로 충고 한마디. 이 글을 읽은 독자 중 혹 해커가 되고 싶은 친구가 있다면 범죄형의 해커가 될 생각은 추호도 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젠 범죄적인 해커를 반기는 곳은 세상 어디에도 없고, 아무도 해커를 ... ...
4.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분야에서 특정한 기능과 용도에만 적용되던 시
대
에서 컴퓨터의 눈부신 발전으로 범용화,
대
중화되는 추세이다. 가상현실 분야는 선진국에서도 범용화 차원에서 개발을 시작한지 3-4년도 안되는 신생분야이므로 지금 개발을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된다.가상현실 기술의 속성은 어떠한 단위 ... ...
2. 천문학 태양계는 질서정연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자신이 지은것이다.프랙탈은 카오스를 정량적으로 기술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
동맥에서 실핏줄에 이르는 혈관은 매우 미세해질 때까지 갈라진다. 그것을 길이로 따지면 엄청나겠지만 핏줄이 차지하는 공간은 아주 작다. 마치 코흐의 눈송이 곡선이 길이는 무한하게 늘어나지만 면적은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인치 해상도 카메라 두
대
와 12인치 해상도 (12×12인치를 한점으로 인식)를 가진 카메라를 1
대
씩 장착했다. 이 위성은 지상 1백 60km 상공에서 하루 4-5회씩 지구궤도를 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6년 처음 발사된 KH-11은 영상을 디지털 전자신호로 바꾸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첫 첩보위성으로, 케난(Kennan ... ...
햐쿠타케혜성이 남긴 이야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주기가 다른 이유는 행성들과 태양의 인력에 의한 섭동 때문이다.햐쿠타케혜성은 역사시
대
이후 관측된 긴 꼬리 혜성의 랭킹에오를거 같다. 햐쿠타케혜성의 꼬리는 지나 3월 26일을 전후해서 1백°에 이르렀고, 태양에 가장 근접하는 그일점(5월2일)을 전후로 다시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이상이 있으면 전문의와 빨리 상담할 필요가 있다" 고 설명한다.결혼에
대
해 자신의 의지
대
로 선택했든 그렇지 않든간에 미혼의남녀는 정신적·육체적으로 고유의 질환에 시달릴수 있다. 그렇다고 결혼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논리는 지나치게 단순한다. 하지만 미혼 남녀에게 발생하는 여러 ... ...
2. 물질의 반응성-생활 속 소재탐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단열재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요즘 건축물을 부술 때 나오는 석면 먼지 공해 때문에
대
체물인 크리소타일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금속도 훌륭한 내화제다. 은행의 금고문은 튼튼하고도 화재에 안전하도록 금속으로 만든다. 우리는 여러 가지 물질들에 둘러싸여 살고 있다. 그 물질들은 각각 따로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한사람만이 발견할 수 있다" 는 논리가 깔려 있었다는 사실이다. 영국의 경험주의와
대
륙의 합리주의 모두 "객관적인 진리를 발견하는 길은 유일하다" 는 점을 바탕으로 형성됐기 때문이다.이 논리에 따르면 뉴턴과 라이프니츠 중 한사람만이 진짜 발견자다. 즉 다른 한사람은 반드시 가짜일 수밖에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
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길고 단물을 배설하는
대
롱이 긴 반면 개미와 공생하는 진딧물들은 비교적 짧은 다리와
대
롱을 갖고 있다.개미와 공생하는 진딧물들은 이같은 형태적인 적응 외에도 행동적 적응력도 지니고 있다. 아무 때나 일률적으로 단물을 뿜어내는 것이 아니라 개미의 보호를 받을 동안 집중적으로 만들어내느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