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찾아가 연구할 프로젝트를 달라고 졸랐다(대단한 학부생들이다!). 당시 기억에 관여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뉴런 활성을 연구하고 있던 안데르센 교수는 성가신 이들에게 해마를 얼마나 절제해야 새로운 환경을 더 이상 기억할 수 없게 되는지 알아보라는 과제를 줬다. 이 실험을 하면서 모세르 ... ...
뇌
염증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 발굴
2014.10.13
효과를 더 연구해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성
뇌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12일자에 실렸다.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등
뇌
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기능만 알아낸 정도다. 이 때문에 최근
뇌
과학자들은
뇌
속 신경세포가 서로 어떻게 연결됐는지 지도를 그리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계 미국인 서배스천 승(승현준) MIT 교수는 신경세포의 구조 전체를 일컫는 ‘커넥톰(Connectome)’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새로운 ... ...
“10년내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
2014.10.10
1만7294개 유전자가 정확히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 밝혀냈다. 팬디 교수는 “인간의
뇌
, 간, 폐 등 각 장기에서 발견되는 특이 단백질을 확인한 성과도 거뒀다”고 말했다. 프로테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벌써부터 실질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간암을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상을 받게 되었다는 것에 진심어린 축하를 보내고픈 심정이었다. 곽지현 고려대
뇌
공학과 교수 - 고려대 제공 오키프 교수는 내가 옥스퍼드대 박사학위 논문심사를 받을 때 외부 심사위원으로 참석해 준 인연이 있다. 나는 신경계에서의 정보처리 기전과 기억 저장 이론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grid cell)’를 내후각피질에서 찾아내 2005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격자세포는
뇌
가 공간을 일정 간격으로 나눠 위치를 파악하도록 돕는다. 해마 전문가인 김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장소세포는 특정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라며 “알츠하이머 환자는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듯 슈퍼컴퓨터로 모습을 바꾼 뒤 손가락만한 USB 저장장치로 최종진화를 마친다. ‘
뇌
를 100% 사용하게 된 인간의 최후의 모습은 과연 USB인가’라는 철학적 사유로 관객들이 괴로워하고 있을 때 루시는 “나는 어디에나 있어”라는 말을 끝으로 막을 내린다. 이것이 바로 90분 러닝타임 영화의 ... ...
[이주의 과학 신간] 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예술 이야기 外
2014.10.05
뇌
과학의 연구성과로 해석해 우리가 예술작품을 보고 감동을 느끼는 이유와 이때
뇌
에서는 어떤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지 등을 알려준다. 사이언스북스 제공 ◆바벨탑의 힉스 사냥꾼 (김동희 著, 사이언스북스 刊)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은 힉스 입자를 발견한 피터 힉스 영국 ... ...
밤샘 좋아하면 싸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4.10.05
토스트 조각에서 예수의 얼굴을 보는 사람들을 모은 다음, 그들이 착시를 느낄 때
뇌
신경을 촬영해 변화를 관찰했다. ▲ 심리학상 당신은 아침형 인간인가 저녁형 인간인가. 호주 웨스턴시드니대 사회과학·심리학대 피터 조나슨 교수팀은 밤샘을 잘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어떤 성격을 ... ...
아이들이 뛰어 놀아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
2014.09.29
작업에서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2배가 넘는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인식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 정도가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아이들의 인식능력과 방과 후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빈도와 횟수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1시간 내 신체활동에 더 많이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