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뉴스
"
미
"(으)로 총 4,4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억~24억 년 전의 대기수준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당시 이
미
동물이 나타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것. 따라서 이제 의문은 왜 동물이 그때 바로 나타나지 않고 10억 년 이상 세월이 더 지난 뒤에야 등장했느냐는 것. 참고로 현존하는 다양한 해면동물의 게놈을 분석해 ... ...
체질량 보지말고, 체형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체형지수(ABSI)가 건강상태를 점검하는 데 더 정확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
국 뉴욕시립대 토목공학과 닐 크로카워 교수팀은 7000명 이상의 성인남녀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체형지수가 비만으로 인한 사망률을 예측하는 데 BMI보다 더 정확하다는 연구결과를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 2 ... ...
[기자의 눈] 과학외교 방해한 국회의장의 무례함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인상을 되돌리기 위해 오랫동안 고생해야 할 것이다. 현장에 있었던 사람 중 하나로
미
국 대표가 한국어를 몰라 잘 못 알아 들었기를 바랄 뿐이다 ... ...
줄기세포로 청각 장애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 Madhero88 제공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들에게 한 줄기 빛이 될 연구성과가 나왔다.
미
국 하버드대 의대와 매사추세츠 재생약학 일반의학센터 공동연구진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실험용 쥐의 청각유모세포를 재생하는 데 성공하고 ‘줄기세포 리포트(Stem cell reports)’ 온라인판 20일자에 발표했다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카제인을 뺀 나머지다. ‘이게 뭐야?’ 흥분한 필자는 유청단백질을 검색해봤고 이
미
보디빌더들이 닭가슴살과 함께 지겹도록 먹고 있는(분유처럼 타먹는) 식품이라는 걸 알게 됐다. 저자들에 따르면 유청단백질이 특히 노인들에게는 근육생성을 돕는(어차피 근육도 단백질이므로) 최고의 ... ...
무질서가 충전지 역사를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새롭게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나노구조 배터리 연구자인
미
국 스탠퍼드대 이 추이 교수는 “지금까지 양극 재료는 리튬이온전지가 발전하는데 걸림돌이 되어 왔다”며 “이번 연구가 적절한 시기에 양극 재료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
AI 바이러스 200살 밖에 안됐다…변종 가능 높은 젊은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나왔다. 이는 앞으로 다양한 변종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
미
한다.
미
국 애리조나대 마이클 워로비 생태학및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사람, 돼지, 말, 조류에게서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계통수를 재정리하고, 각 숙주마다 바이러스의 진화 속도에 차이가 있다는 ... ...
골칫덩이 비닐봉지가 자동차 연료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탈바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
국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 데일리'는 최근
미
국 일리노이 지속가능기술센터(ISTC) 연구진이 슈퍼마켓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닐봉지를 열분해해 디젤 연료의 혼합 물질로 적합한 액체 탄화수소를 추출하는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장바구니 들고 다니기 ... ...
암세포 쉽게 판독하는 수술용 영상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휴대용 영상장치를 활용해 수술 중 암세포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 기술이 나왔다.
미
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사무엘 아킬레푸 교수팀은 휴대용 영상표시장치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술이 적용된 수술용 특수 안경을 개발했다고 ‘생의학 광학 저널’ 최신호를 통해 밝혔다. ... ...
애니메이션 주인공 중 곱슬머리 없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중요한 과제였다. 최근
미
국와 프랑스 공동연구진이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미
국 매사추세츠공대와 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파리 6대학) 연구진은 도시의 철제 파이프의 휘어짐에 관한 연구를 이용해 곱슬거리는 머리카락까지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모델을 만들었다고 물리학 분야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