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첨단시설 연구소 버리고 내키지 않는 대학 발걸음
과학동아
l
199504
한통화로 될 것도 서류로 해야되고 직접 가서 보고해야 한다. 흔히들 책임연구원이 되면
서울
대전간의 고속도로에 버리는 시간이 연구하는 시간보다 많다는 말을 자주 한다. 연구성과를 발표하는데도 연구소 차원에서 하면 될 것을 소장을 대동하고 과기처에 올라가서 발표해야 한다. 어느 ... ...
한강 개발 이후 조류생태계 급변
과학동아
l
199504
지난 86년9월에 끝난 한강 종합개발사업은 이후 한강의 조류생태계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이 낮았던 개발 이전에는 수면 ... 가해진다면 많은 오리류가 월동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서울
시를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여자 우주비행사 초청 강연
과학동아
l
199504
등 주로 생명과학과 관련된 실험연구를 수행했다.강연은 4월 16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서울
대문화관에서 개최된다. 무카이 강연과 함께 오는 7월 발사 예정인 무궁화위성 사업단장인 황보한 박사의 '무궁화위성 발사와 우주 시대의 개막'이란 제목의 강연도 있을 예정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04
완전멸균에 한계이미 국내에서도 인체 적출물에 대한 재활용 사업이 성행하고 있다.
서울
시내 병의원에서 한 달에 발생하는 병원적출물은 1백70t. 그중 0.1%를 차지하는 인체 적출물은 대개 소각처리된다. 그러나 2년 전부터 시행된 의료법시행규칙에 따르면 그 가운데 제약업체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 ...
1 기초과학은 현대산업의 쌀
과학동아
l
199504
어제의 과학이 오늘의 기술이며, 과학과 기술이 같이 숨쉬는 경우가 점점 많아진다는 점이 바로 현대과학기술의 특징이다. 특히 기초과학은 산업의 건강을 유지하는 우리가 먹는 밥과 같은 것이다.지난 3월에 광주과학기술원이 문을 열었다. 개원식의 기념행사로서 타운스(C.H. Towns)박사와 휴이시(A.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504
게놈에는 각 염색체의 부분부분에 골고루 산재하는 표지가 1천6백개나 확립되었다. 이는
서울
-부산 경부선 철도를 이루는 레일에 일정간격으로 번호표를 붙인 것과 같다. 이렇게 되면 어느 특정 레일, 가령 대전역에서 남쪽으로 1.5㎞ 위치에 있는 레일을 찾아내기란 아주 쉬운 일이 된다. '비만 ... ...
생물- 곤충모형만들기
과학동아
l
199504
곤충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모두 아는 사실이지만 직접 곤충모형을 만들면서 그 공통점을 익힙시다. 아울러 거미모형도 만들어 거미가 곤충과 다른 점을 알아봅시다.지구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동물이 바로 곤충입니다. 곤충은 수가 많은 만큼 생김새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사진 속의 곤 ... ...
4. 반도체 제조·오염물질 처리에 획기적 활용
과학동아
l
199503
플라스마는 이미 생활 가까이에 접근하고 있다. 조명 디스플레이 레이저는 물론 고집적 반도체 제조, 신물질 합성, 공해물질 제거에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플라스마는 그것이 갖는 온도와 밀도로 분류한다. PARTⅠ (표1)에서와 같이 온도는 수천-수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
과학동아
l
199503
밝은 별들이 나비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③ 보름달 1995.1.16
서울
대학교 교내 vixen ED 130㎜, Pentax ME super, 필름 velvia 50, EM 200 1/120초보름달은 해가 지고 난 후 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하며 자정 무렵 남중한다. 그 시간쯤이면 고도도 높아지고 빛줄기를 가진 멋진 크레이터들 ...
옛지도
과학동아
l
199503
국조역상고(國朝暦象考)에 의하면 중국의 연경(현재의 북경)과의 비교 관측에 의해서
서울
의 경도를 연경을 기준으로 '東10°30''으로 측정했다고 한다.정조 15년(1791)에는 비변사에 소장된 지도를 이용해서 팔도 관찰사영의 위도와 북경기준 경도를 양정(量定)하라고 명하여 팔도 관찰사영의 경위도를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