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잘 달릴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계산을 통해 바퀴가 최대한 많이 흔들리지 않는 곳을 찾아 바퀴의 중심축을 끼우는 것이다. 그러면 울퉁불퉁한 도로는 물론, 평평한 도로에서도 잘 달린다.한편 실험 ❶을 응용하면 다양한 모양의 자동차 바퀴를 만들 수도 있다. 정사각형을 그린 뒤, 각 ... ...
- 수학으로 가상과 현실을 자유롭게 넘나든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돕는 3D 몽타주 개발!동궐도에 이어 연구실 한쪽엔 다양한 종류의 몽타주가 보였다. 이곳에서는 과학 수사에 쓰이는 3D 몽타주 기술을 연구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범인 몽타주는 연필 선으로 그려진 2차원 그림이었다. 3차원 몽타주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현재 경찰들이 사용하고 있는 2차원 몽타주는 ... ...
- Part 2. HOT VOLCANOES!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살아 있다는 증거다.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지구를 체험하기 위해 사람들은 화산이 있는 곳으로 탐험을 떠난다.※아래 확대된 이미지를 보시면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Part 2. HOT VOLCANOES!Part 3. 지구를 뒤흔든 ...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온도를 알 수 있다.“에트나 산에는 이런 카메라가 8곳에 있으며, 스트롬볼리 산에는 5곳에 있어요. 분화구에서 수백 m 이내에 있는 카메라는 몇 년에 한 번씩은 파괴되지요.”사진을 찍고 숨을 고른 뒤에 자동차를 타고 정상 가까이 올라갔다. 지난 폭발 때 화산재에 뒤덮여 파괴된 건물이 아직도 ...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탐사 지점 간에는 약 100 km의 간격(조사 미구간)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열수구와 그곳에 서식하는 새로운 종들 그리고 이미 밝혀진 열수생물의 자매 집단들이 미래에도 계속 발견될 것이다. 잃어버린 퍼즐조각들이 하나하나 찾아지듯이.우리나라는 2011년 태평양과 남극 사이에 위치하는, 지구 ... ...
- 3차 흡연, 내 아이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등에 묻은 유해물질 등을 모두 다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흡연 물질의 흡착은 워낙 여러 곳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무리 집안을 환기시켜도 흡착이 일어나고 나중에 다시 배출된다. 3차 간접흡연을 막는 것은 흡연자의 완전 금연만이 최선의, 그리고 유일한 ... ...
- INTERVIEW 롤프-디터 호이어 CERN 소장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야기했다. “한국은 CERN의 검출기(입자를 발견하거나 성질을 연구하는 설비) 두 곳에서 110명 이상의 과학자와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회원국이라 CERN 내부 연구자로 고용될 수 없고, 한국 기업이 CERN 내부에 장비를 만드는 수주 경쟁에도 참여하기가 어렵지요.”호이어 소장은 ... ...
- 글루텐과 이스트의 맛있는 합작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그리고 반죽을 잘라 주먹만 한 찐빵 모양으로 빚어 2차 발효를 시켜요. 약 35℃의 따뜻한 곳에서 40분간 두면 된답니다.빵빵하게 부풀어 오른 반죽에서는 시큼하면서도 달달한 냄새가 났어요. 이제 빵 모양을 잡아 오븐에 구울 차례예요. 가소성이 좋은 글루텐 덕에 반죽을 아무리 밀어도 자꾸 ... ...
- 보호해야 할 우리나라 고유종 세모배매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경기 북부, 제주도 일부에서 볼 수 있으며, 주로 관리되지 않는 무덤가에 많다. 이런 곳이 주변에 있다면, 용기를 내 한번 찾아보자. 단, 낮에 찾아가야 한다. 오전 11시 전에는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고 오후 3시만 넘어도 울지 않기 때문이다. 날씨도 아주 맑아야만 들을 수 있다. 풀매미가 소리를 ... ...
- ➏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동네를 관찰하며 사진으로 남겨볼 것을 첫 과제로 내준다. 그리고 “자기가 살고 있는 곳에 대해 애정을 갖고 이해를 시작하는 것이 바로 건축학개론의 시작”이라 말하며 첫 수업을 마친다. 아무래도 영화인 탓에 낭만적으로 표현한 걸까. 강현구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는 건축을 “이과적 소양뿐만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