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생겨 맛이 떨어진다. 따라서 젓갈 을 많이 담그는 지역에서는 1년 내내 일정한 온도가
유지
되는 자연동굴을 젓갈의 숙성장소 로 이용한다. 식염에 절인 생선에서는 그 내장이나 몸에 들어 있는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내염성 미생물에 의해, 아미노산이나 핵산 등이 만들어진다. 또 이때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체내의 피를 전부 빼내고 대신 동결보호제를 체내에 주입해 액체질소로 영하 196℃를
유지
하는 금속 탱크에 넣어졌다. 그 후 많은 냉동인간 후보들이 자원을 했고, 현재 미국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에는 냉동캡슐 에 33명의 냉동인간이 보존돼 있다고 한다.현재의 냉동인간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같은 응결핵이 없는 맑은 수증기는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더라도 얼지 않고 과냉각상태를
유지
한다. 여기에 먼지입자들이 유입되면 이를 응결핵으로 해서 급격히 얼음결정이 성장해 눈이 된다. 기온이 영하 30℃보다 낮은 차가운 공기에서는 기둥모양 같은 단순한 모양이 많이 만들어지고 결정이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신생아는 하루 종일 거의 수면으로 일관하는데, 뇌 파를 분석하면 주로 렘수면 상태만을
유지
한다. 그렇다고 갓태어난 아이가 과연 꿈을 꾸는지 확인할 길은 없다. 이후 2-6개월이 지나면 비렘수면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10세쯤 되면 수면의 패턴이 성인과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노인의 경우는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안겨주지 않고 오히려 인간으로 하여금 야만적인 본성을 억제하 고 자율적인 평화를
유지
하도록 인도한다. 사실 외계인은 지구 인류가 조만간 획기적인 진화를 겪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자신보다 초월적인 존재의 위탁을 받아 지구를 보호하러 온 것이 었다.반면 80년대 TV연속극으로 방영돼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기체가 빠져나오 도록 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
한다. 보통의 압력솥은 2기압 정도의 압력을
유지
해 물의 끓는 점을 약 1백20℃까지 올린다. 이런 경우 높은 온도에서 물이 끓으므로 물과 함께 있는 식품 은 단시간 내에 익는다. 그럼으로써 에너지와 영양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유혹 물리치는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떨어진다.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는 평소에 필요한 칼로리의 50 분의 1만 있어도 생명을
유지
할 수가 있다. 이런 얕은 휴면 상태는 덥고 건조한 여름철에 나타나 기도 하는데, 그런 경우를 하면(夏眠, estivation)이라고 부른다.둘째는 깊은 휴면 상태, 즉 동면이다. 이는 얕은 휴면 상태보다 더 오랫동안 ... ...
슈뢰딩거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런 헌신성 때문에 이들 부부는 이혼하지 않고 평생 '사랑이 없는' 결혼 생활을
유지
했는지도 모른다.슈뢰딩거는 왜 부인에게 이런 태도를 보였을가. 젊은 날 슈뢰딩거가 실패한 첫사랑에서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슈뢰딩거는 1914년 모교인 비엔나 대학의 사강사 자리를 잡으면서 학자로서 첫발을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아주 작은 양이지만 변광하고 있다. 태양처럼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
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인데, 만약 태양이 이처럼 안정된 별이 아니었다면 지구상에는 생물이 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악마의 별 알골변광성 중 지명도로 선두를 다투는 유명한 별이 ‘알골’(Algol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갖지 않은 잡초만의 특정 생리 기능을 억제해야 한다. 그런데 이 기능은 잡초의 생명을
유지
하는데 적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 기능을 집중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잡초의 숨통을 끊기 위해서는 대량의 농약이 동원돼야 한다. 만일 농약에 잘 버티는 벼를 만든다면 적은 양의 '무차별적' 농약을 뿌려도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