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값은 6.62606896×10-34 J·s다.아보가드로 상수가 거대한 값이라면, 플랑크 상수는 아주 작은 값이다. 극과 극의 값을 갖는 아보가드로 상수와 플랑크 상수가 어떻게 1kg의 새로운 정의가 될 수 있을까.아보가드로 상수, 완벽한 규소구 이용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아보가드로 상수를 기반으로 1kg을 ...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메달을 받았다. 로봇과 과학을 즐기며 대회에 참가한 모두를 기념하기 위한 주최 측의 작은 선물이었다. 기자도 좋은 결과를 내진 못했지만 메달을 받았다. 이 메달은 대회를 준비하며 들였던 노력과 열정을 추억하게 도와줄 것이다 ...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않고 그 상태에서 유전체(게놈)를 분석하는 연구방식이다. 시료에서 전체 DNA를 추출한 뒤 작은 조각으로 잘라 무작위로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샷건 방식(미국 셀레라사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팀이 인간게놈을 분석한 방법)’을 쓴다. 이런 방식은 빠른 속도로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기술과 여기서 ... ...
- 127시간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아론이 몸에 지닌 식량은 1L짜리 물 한병, 초콜릿 바 한 개, 그리고 열량 500cal쯤 돼 보이는 작은빵 두어 개 뿐이었다. 하지만 그는 무려 127시간을 버티고 탈출했다. 이 사건은 언론에서 대서특필하며 세상을 놀라게 했다. 후에 아론이 쓴 ‘127시간’이라는 책은 사건 모든 과정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결론을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대화를 하던 중 우연히 목소리 큰 학생과 목소리 작은 학생이 이야기 하는 것을 발견하고 ‘왜 평상시 이야기하는 목소리 크기가 서로 다를까?’라는 의문을 갖습니다. 친구 집을 방문해보니 가족들의 목소리 역시 차이가 나고, 친구 가족들과 TV를 보던 중 두 ...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정자 보관법정액을 채취한 뒤 먼저 세포가 얼지 않도록 냉동보존액과 섞는다. 그리고 작은 용기에 담아 영하 196℃의 액체 질소 탱크에 넣는다. 얼린 정자는 혈액형 별로 보관하며, 나중에 필요한 양만 녹여서 사용한다. 정자를 기증하는 사람은 누구?임신 능력이 있는 30대 이하의 남자로, 혈액 검사 ...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자전거를 접어도 바퀴는 접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접이식 자전거에는 바퀴가 작은 것이 많다. 과연 미래에는 바퀴마저 접는 자전거가 나올까?자전거를 타다 보면 체인이 빠지는 일이 종종 있다. 헛도는 톱니바퀴 위로 체인을 거는 일은 퍽 귀찮은 작업이다. 손에 기름도 묻혀야 한다. 체인은 ...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매년 반장 선거를 할 때 칠판에 적는 것처럼5개씩 묶여 있다. 이처럼 사람은 세기 쉬운 작은 단위 몇 개를 모아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고 그것을 큰 단위로 올려나가는 방법으로 수를 셌다. 이러한 셈 방식은 늑대 뼈 외에도 조개껍데기, 벽화 등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에서는 ...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개스킷에 관한 내용을 강연했다.*아폴로니안 개스킷: 커다란 원 안에 접하도록 작은 원을 반복적으로 채워 넣은 그림을 말한다. 김주리 교수_매사추세츠공대(MIT) 수학과KAIST 수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 교수는 세계 최고 이공계 대학인 미국 MIT 수학과의 ... ...
- 집합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이야기하면 두 모임은 모두 집합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예시를 보고 ‘1보다 작은 자연수는 없고 0보다 큰 음수도 없으니 ①, ②번 모임은 모두 집합이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종종 있답니다. 이러한 실수는 원소가 하나도 없으니 집합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오류에서부터 시작된 거죠.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