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d라이브러리
"
적은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제2법칙, 즉 ‘행성이 운동하면서 행성과 태양을 잇는 직선이 동일시간에 만드는 면
적은
일정하다’에서 나타난 것처럼 근지점에서는 속도가 빨라지고 원지점에서는 느려지게 된다. 지구 근처에서 우주선의 속도가 32.73km이므로 화성에 접근할 때는 21.5km 가량 된다. 또한 그때까지 비행하는 데 ... ...
휴먼로봇 꿈 이루는 휴머니스트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그는 유학 시절 모든 사람이 자신의 스승이었다고 말한다.주어지는 경쟁에서 뒤쳐져본
적은
없지만 자신이 선택하고 하는 일에 대한 당위성을 찾아 힘을 실어주기까지 시간이 걸렸다고 솔직히 털어놓는다. 공부만 잘하면 됐던 세대가 느낄 수 있는 갈등 아닐까. 그래서 그는 다양성이 존재하는 요즘 ... ...
소비자와 직접만나는 델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1984년 창업 이후 매년 2배 정도 급속한 성장을 해온 델컴퓨터사.이곳은 컴퓨터 제조와 판매,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하는 기업이다.델컴퓨터의 성공열쇠는 간단하지만 아무나 쉽게 실천하지 못하는 사업전략에 있다는데 그것은 무엇일까.미국 청소년들의 우상이었던 제임스 딘과 세기의 미녀배우 엘 ... ...
멸종의 덫 벗어나는 미국 회색늑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1973년 미국은 ‘멸종위기종보호법’(Endangered Specieses Act)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옐로스톤 국립공원 등에 회색늑대를 자연방사하려는 계획이 추진됐다. 하지만 이 계획은 늑대가 사람과 가축에 위험하다는 해당 지역 농민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물론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늑대보호구역으로 지정되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1997년 복제양 돌리가 태어난 이후 전세계는 복제 열풍에 휩싸였다.사람들은 SF영화 속 인간복제가 시간문제라며 흥분했다.하지만 복제 문제는 외국의 소식에 불과했다.적어도 1999년 2월12일 오후 5시 30분 경기도 화성군의 한 목장에서 복제송아지 '영롱'이가 태어나기 전까지는 그랬다.곧이어 같은 ... ...
멸종위기 식물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종류의 위협에 처해 왔다. 하지만 식물종의 감소가 지구차원에서 그리 큰 문제가 된
적은
별로 없었다.그런데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인구 증가와 공업화로 많은 식물종들이 위협을 받기 시작했다. 1996년 국제자연보존연맹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많은 식물종들이 살고 있는 아시아 열대림은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초기 인류 문명의 발생은 어떻게 이뤄졌을까.인류보다 초월적인 외계 존재에 의해서일까.작가 아서 클라크는 '2001 우주 오디세이'에서 인류의 지적 진화가 고도의 지성을 지닌 외계 문명에 의해 이뤄졌다고 설정했다.2001년을 눈앞에 둔 지금,1960년대 아서 클라크가 그려낸 2001년으로 여행을 떠나보 ... ...
사람보다 느리게 가는 빛 유도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초속 30만km로 진행하는 빛. 이 세상에 빛만큼 빠른 것이 없다. 하지만 최근 물리학자들이 빛의 속도를 줄여 사람보다 느리게 가도록 만들었다. 미국 과학진흥협회의 보고에서 로우랜드 과학연구소와 하버드대학의 르네 하우 박사는 진공에서의 보제-아인슈타인 응축으로 빛의 속도를 1.6km/시로 줄였 ... ...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이박사! 오늘은 또 무슨 연구를 하시나? 이건 못 보던 플라스크인걸.”“삼촌! 이 플라스크 사느라고 파리를 1백마리나 잡았어요. 엄마한테 말씀드려서 파리값 좀 2원으로 올려달라고 해 주세요. 이제 잡을 파리도 없단 말이예요.”꼬마 이박사가 한창 오후 수업을 즐기면서 삼촌과 나눈 대화다. ... ...
눈물 젖은 꿈 우주에 띄운 '우리별' 주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제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이 기적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불가능한 일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70%의 성공 확률이요? 그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말이죠.” 과기대 1회 졸업생이자 과학실험위성인 ‘우리별’ 1, 2, 3호 개발의 주역인 유상근(34) 사장의 말이다. 유사장은 인생을 개척한다는 것이 무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