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터치ID’에서 ‘페이스ID’로. 애플이 ‘아이폰X(텐)’에 ‘페이스ID’를 탑재했다. 비밀번호를 누를 필요도, 손가락을 갖다대 지문을 인식시킬 필 ...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세상에는 70억 명이 넘는 인구가 있고, 이들은 저마다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 물론 일란성쌍둥이처럼 거의 똑같은 얼굴도 있지만, 이들조차도 점의 ...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다. 그는 “IWC는 남극 밍크고래 개체수를 51만~72만 마리로 추정한다”며 “전체 개체수에서 300마리는 0.06% 정도인 만큼 멸종위기를 이유로 비난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래에 작살을 꽂는 행위 등을 잔인하다고 규정해 고래잡이 자체를 비난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시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문제다. 실적 압박에 결과가 잘 나올 법한 연구만 선택하거나, 충분히 숙성되기 전에 일단 논문부터 발표하고 보자는 경우들이 이 성공률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정상적인 연구 문화는 논문 수와 같은 정량적인 평가에 치중하는 R&D 시스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BSC 위원들이 토론을 거쳐 점수를 투표해 도출한 평균값이 2차 평가 결과다. 이후 전체 BSC검토를 거쳐 4개월 뒤 연구실에 점수를 포함한 정성평가 결과가 통보된다. 이의 신청 기간은 한 달이다. 신시아 매시슨 NIH 국립암연구소 연구본부 평가지원팀박사는 “만약 어떤 연구에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왜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고, 건물 하층에서 붕어를 잡기도 한다는데(미국인은 붕어를 먹지는 않습니다) 6주 전에 신청하면 이런 시설을 1시간 정도 견학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이런 시설 덕분에 SAFL에서는 ‘미네소타 호수의 풍력 에너지 정량화 기술’ ‘강우로 유출된 인산염 포획 연구’ 등 다양한 연구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현’을 진행했다. 이 강좌를 통해 명상을 체험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는 e메일이 전 세계에서 날아 들었다. 독자 여러분도 마음빼기 명상을 통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미완성에서 완성으로 가는 즐거움과 변화를 느껴보길 기대한다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언젠가 에반스 교수는 또 이런 터무니없는 소리를 한 적이 있다. 술을 마시고 내게 전화를 했을 때였다. 취한 목소리로 늘어놓는 열변을 나는 가만히 들어 주었다. 눈은 TV 화면에 고정한채로, 딱히 집중하지는 않고서. “지하는 아직 탐험되지 않은 공간입니다. 우리가 모르는 생태계의 존재를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끼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이 노트의 내용은 하나의 명제를 증명하는 게 아닙니다. 수학 전반에 걸쳐 기초적인 개념부터 다루고 있습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성취는 무엇인가요?마랭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그로텐디크의 생각하는 방식을 ...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주는 변수를 독립변수, 다른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수를 종속변수라고 한다.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동물의 표정이 감정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연구팀은 반려견의 표정이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적극적인 시도라고 말합니다. 또 사람이 관심을 보일 때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