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알았을까? 아래 두 주장과 독자의 의견을 읽고 결국 공주의 답이 무엇이어야 할지 생각해 보자!antoniozo님일요일에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은 (동전이 앞면이 나와 내가 깨어날 확률)÷(내가 깨어날 확률)입니다. 내가 깨어날 확률은 (동전이 앞면이 나와 내가 깨어날 확률)+(동전이 뒷면이 나와 ... ...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키메라 배아 연구에 대한 연구비 지원 중단을 해제할 것이라고 입장을 번복했다. 이에 대해 송혁 건국대 동물생명과학대 교수는 “유럽, 일본, 한국, 특히 중국이 키메라 배아 연구에 박차를 가하면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트럼프 정부에서는 연구비를 늘리는 방향으로 나아갈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니라, 조류의 조상과도 가깝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동물들의 모든 해부학을 현대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이론은 반박됐는데, 남아프리카의 과학자 요한 웰멘이 1995년에 다시 부활시켰다. 그가 에우파르케리아와 새가 비슷하다고 주장하면서 든 근거 중 하나는, 커다란 타원창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모두 나타났다. 즉, 여우원숭이는 겨울잠을 자는 동안에도 때때로 인간의 수면에 해당하는 잠을 가끔씩 자고 있었던 것이다.동물들의 신비로운 겨울잠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아시아의 느림보원숭이도 짧지만(약 63시간) 몸을 가사 상태로 만들어 환경 변화에 버틸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때 연구원들이 만든 측정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 다이오드의 전자에너지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레터스’ 1월호에 발표했다.박 교수는 “스스로 할 수 있어야 유레카의 순간도 경험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연구원들이 숨어 있는 창의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 때문에 발생했다는 가설에 과학자들은 얼마나 동의할까. 답은 약 97%다. 온난화를 주제로 쓴 논문 11만9494편의 초록을 호주, 미국, 영국 등 6개 연구 ...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 ...
- [과학뉴스] 신비한 빛기둥들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위도에 있는 노르웨이나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국가와 캐나다에서 자주 발생해요. 하지만 매우 추운 겨울에는 간혹 낮은 위도에 있는 지역에서도 나타난답니다.● 플라스마: 기체 상태의 물질에 높은 온도(3000℃ 이상)와 에너지를 가하면 원자 속의 전자가 떨어져 나가는데, 이 상태를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문제를 포켓몬GO에 적용했다. 영국에 있는 2만여 개의 술집을 들르는 가장 짧은 길을 계산해 화제가 된 사람이기도 하다. 쿡 교수는 미국 신시내티에 있는 포켓스탑을 도는 가장 빠른 길을 구했다.한국에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는 방법도 있다. 쿡 교수가 iOS용으로 만든 애플리케이션 ‘ConcordeTSP’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부산하게 움직였다. 하림은 조용해질 때까지 그 자리에 서 있었다. 두 남자의 대화를 통해 몇 가지를 알 수 있었다.일단 납치범은 한두 명이 아니었다. 대장이라는 사람까지 있는 걸 보면 모종의 단체였다. 화학선생님도 가담하고 있는….그리고 한 가지 더. 엄마가 이곳에 있었다! 두 남자의 말을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수학자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도움으로 논문을 발표했어도 남편의 상점에서 조수로 일해야 했어요. 유럽의 대학교들이 여자 강사를 고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독일 수학자 에미 뇌터도 대학 입학 때문에 고생했어요. 뒤늦게 학교를 다녀 교수가 됐지만 남자 교수의 눈치를 봐야 했죠.최근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