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식물에서 찾은 다이어트 묘약?
과학동아
l
200807
물을 마시며 체중을 약 9kg 감량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의 다이어트 성공 일등공신은
바로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캅사이신이다.캅사이신은 몸의 신진대사를 활발히 해 에너지 소비량을 높이고, 지방을 태워 열을 낸다. 이렇게 소비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은 섭취한 열량의 10%에 이른다. 또한 몸에는 ... ...
2. 내 짝은 초대칭 입자
과학동아
l
200807
질량을 맞추기 위한 값(102GeV)과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초대칭 입자를 도입하는 것이다. 표준모형 입자들이 초대칭 짝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102GeV는 유지되면서 양자적학적인 보정은 정확히 상쇄된다.LHC 실험에서는 이 차이를 눈으로 확인하는 일이 최우선이다. ... ...
2. 세상에서 가장 비싼 '반물질'
과학동아
l
200807
실험에서 처음 관측됐으며 곧 가동될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의 주요 임무 중 하나도
바로
CP 대칭성 깨짐을 증명할 유력한 단서를 찾는 일이다.LHC 실험에서는 막대한 양의 입자가 생성되고 붕괴된다. 이 과정에서 CP 대칭성 깨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LHCb라는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07
5’ 로켓에 실려 지구에서 발사됐다. 마스 패스파인더와 스피릿, 오퍼튜니티 형제가 탔던
바로
그 로켓이라 발사 때 왠지 마음이 편안 했다. 특히 발사 직후 흔히 볼 수 없는 발사 구름이 하늘에 생겼는데, 그 모양이 흡사 불사조 같아 모두들 나의 여행길이 무사할 거라고 믿었다.10개월 동안 6억 800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07
극중 김영희(박광정 분) 교수가 가족들을 미국으로 떠나보내며 찍었던 X선 가족사진은
바로
정 교수의 해골가족사진을 모델로 했다.예술을 뜻하는 ‘art’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에서는 의술을 뜻했다. 그래서일까. 정 교수는 이때부터 차가운 X선 사진에서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들을 보기 시작했다 ... ...
콘센트에 꽂아 인터넷하는 '아폴코'
과학동아
l
200807
신호를 받아들이면 끝! 복잡해 보이지만 사용할 때는 ‘플러그 앤 플레이’, 꼽기만 하면
바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이사할 때도 어댑터만 빼서 옮기면 되니 다시 인터넷 배선 공사를 할 필요가 없다.그러나 랜선을 이용할 때보다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는 점이 아쉽다. 사용자 환경에 따라 최대 ... ...
스톤헨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7
일 때의 체적의 1/273씩 증가 한다는 법칙컬러텔레비전에서 컬러 브라운관의 3색 형광체
바로
앞에 형광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둥근 구멍 또는 각형(角形) 구멍이 뚫린 금속판 전극 두께는 015mm 안팎이다W 서덜랜드(1893)가 기체분자를 그 들끼리 약한 인력을 서로 미치고 있는 강체와 같은 ...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07
형성됐다고 본다.앨리스 실험에서 구현하려는, 태양 중심보다 10만 배나 높은 온도는
바로
빅뱅 직후 100만분의 1초가 경과한 초기 우주(약 137억 년 전)의 온도와 같다. 빅뱅 직후 초기 우주에서도 쿼크-글루온 플라스마가 만들어진 셈이다. 이 때문에 앨리스 실험을 ‘미니 빅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07
두루미보다 큰 먹이를 먹을 수 있다. 그런데 황새의 부리는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소리를 내는 기관. 황새는 울대가 없기 때문에 목에서 소리를 낼 수 없다.대신 커다란 부리를 “딱딱” 맞부딪쳐 소리를 낸다. 황새 연구가인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박시룡 교수는 “황새는 구애를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07
거울의 지름이 큰 천체망원경일수록 더 먼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 현재 거울의 지름이 8m 이상인 천체망원경 15대가 세계 각지에 설치돼 ... 자긍심이 고취되고 국가의 위상이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아울러 이공계 기피현상을
바로
잡고 해외 우수과학자를 유치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