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10
걸린 그룹, egt 유전자를 비활성화시킨 바이러스에 걸린 그룹, 걸리지 않은 그룹으로 나눠
일
생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에 걸린 그룹은 기다란 플라스틱 통(나무 역할) 위에 올라가 죽고 egt 유전자를 비활성화시킨 그룹은 땅에서 죽었다. 이 유전자를 비활성화시켰다가 다시 활성화시킨 그룹은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10
한국은 1980년대부터 방공유도무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말에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인 천마를, 1990년대에는 휴대용 지대공유도무기 ... 하늘을 지킨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앞으로 대륙간 탄도탄과 인공위성 공격 미사
일
을 막는 우주방어기술의 기반이 세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10
요즘 부부 과학자가 꽤 늘었다. 같은 분야에서 연구하는 커플도 드물지 않다. 김근
일
(45) 숙명여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백성희(41)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 하고 싶어요. 그거 못하면 못 죽을 거 같아요(웃음).” “부부로서는 오래 살면서 서로
일
도 잘 하고 아이들 잘 키우는 게 꿈이죠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
과학동아
l
201110
상대방에게 날개달린 침을 찌른다’고 썼다.” 여기서 침은 비유가 아니라 정말 달팽이
일
부 종이 쏘는 탄산칼슘 구조물이다. 하지만 그 모습을 보고 신화를 떠올리는 것은 분명 문학적 상상력이다.이 책의 원제목은 ‘야생 달팽이의 식사 소리’다. 병으로 몸을 못 움직이는 저자에게 달팽이가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10
출발점’이라는 가설 역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밀러 교수는 지난 2007년 77세를
일
기로 타계했다. 그의 제자이자 오랜 동료였던 제프리 바다 교수는 그의 유품을 정리하던 중 1950년대 실험에서 얻은 물질이 들어있는 바이알(작은 유리병)이 담긴 박스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최신 ... ...
현실도피와 ‘가짜 철학적 경향’
과학동아
l
201110
인생의 의미를 추구한다면 가짜 철학은 현실의 책임감을 회피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즉,
일
종의 자기기만이다. 이솝의 ‘신포도 이야기’와 비슷하다고 할까.가짜 철학을 논하는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너무나 많은 것을 바란다. 특히 성공이나 경제적인 번영을 많이 바란다. 위 사례에 든 아들도 사실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10
높여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일
단 자동차의 속도보다 빠르게 정보를 처리해야만 하죠. 게다가 다룰 정보의 양도 상당히 많습니다.”그러나 서 교수가 연구를 멈출 수 없는 이유는 ‘교통사고 없는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신념 때문이다. 작년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10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수학적인 명제에 따라 원본 성격과 복사본 성격(또는 개인)은 동
일
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의식과 지성이 육체의 한계를 벗어나 다른 형태로 지속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인간이 영원히 살 수 있다는 생각도 가능해진다.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
과학동아
l
201110
공이 공기 속에서 비행을 할 때 받는 저항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 커진다. 빠른 공
일
수록 같은 거리를 날아가면 속도가 더 많이 줄어드는 것이 물리적으로 당연했고, PTS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투수의 몸 상태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예전엔 투수가 “오늘 내가 잘 던지지 못한 것은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10
이해할 수 있다. 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도 생명현상 전체를 보려는 노력의
일
부다. 전체 단백질을 정리하면 단백질끼리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자연히 왜 병에 걸리는지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수도 있다. 단백질 백과사전은 앞으로 또 어떤 생명의 비밀을 인류에게 알려주게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