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105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녀가 발견한 거대한 흑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5.09
성운 안에서 별
빛
이 새어나오는 탓이다. 이제 갓 태어난 아기별이 강보에 싸인 채 세상
빛
을 보려고 작은 눈을 살짝 뜨고 있는 것이 아닐까. 허블우주망원경이 적외선으로 촬영한 말머리성운. - NASA 제공 실제 태어난 아기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적외선으로 찍은 사진 속에서 잘 보인다. ... ...
값 싸고 효율 뛰어난 태양전지 기술 잇따라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3.05.09
양자점은 나노미터(nm·1nm=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구조물로, 크기에 따라 흡수하는
빛
의 파장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태양전지나 바이오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유기염료 태양전지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 ...
다원의 아침
동아사이언스
l
2013.05.08
푸른
빛
을 더해가는 보성 대한1 다원. -photo by HAYANA (사진을 사랑하는 사람들) *사진 원본 보기 http://photo.dongascience.com/board/gallery/view/18742 ...
개미의 움직임, 페르마의 법칙을 따른다!
수학동아
l
2013.05.07
직선 형태가 된다. 반면 매질이 다른 경우에는 직선의 기울기가 다르게 되고, 결국
빛
이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땐 그 경계에서 꺾이는 굴절이 일어난다. 연구팀은 “개미는 최소 시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연구 결과는 로봇이나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 ...
잠들지 않는 도시 '잠들게' 만드는 조명등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만들어
빛
이 새지 않게 했다. - 대만국립중앙대 제공 연구진이 개발한 LED 가로등은
빛
이 거의 새어나오지 않아 에너지 낭비가 2%에 불과했으며, 효율도 높아 전력량을 40~60% 줄일 수 있었다. 연구진은 3~6개월 내에 시제품을 개발해 내년 초 실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태양전지 효율 세계적 수준까지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수도 있기 때문에 실리콘박막 태양전지에 비해 싸고 제작과정이 간단하다. 고분자가 태양
빛
을 흡수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으로 결합한 엑시톤이 만들어지고 여기서 분리된 전자와 정공이 전극으로 이동하는 것이 고분자 태양전지의 원리다. 상용화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내기 위해서는 태양광을 ... ...
金 나노입자, 나쁜 것만은 아니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5
일반 세포(피부 섬유모세포)에 각각 금 나노입자를 주입한 뒤, 나노입자에서 나오는
빛
을 볼 수 있는 특수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8시간 동안 5분 간격으로 사진을 찍었다. 금 나노입자 중에는 막대 모양과 공 모양이 있는데, 일반 세포는 먼저 막대 모양의 나노입자를 빨아들이면 이동 속도가 ... ...
병원균 하나도 놓치지 않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3
이는 측정하려는 분자가
빛
을 쐬면 구조는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를 방출해
빛
을 증폭시킨다는 화학적 증강 효과 가설에 어긋나는 것이다. 표준연 이태걸 박사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표면증강 라만산란 현상에 대한 논란을 하나로 정리해주는데 의미가 있다”며 “이번 결과에 따라 ... ...
‘우주 정복’ 꿈 꾸는 과학자들이 걸어온 길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5.02
최소 130억 광년에 이른다. 관측 가능한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출발한
빛
이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130억 광년이 걸렸단 의미다. 그 사이 우주가 꾸준히 팽창했음을 감안한다면 실제 우주의 크기는 “아무도 알 수 없다”는 게 정답일 것이다. 이렇듯 인간의 상상을 압도하는 우주의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아니라 다양한 양식의 외부 감각 정보를 수용하는 단백질로 등장했고 진화를 거쳐
빛
정보에 특화된 다양한 옵신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여년 사이 시각신호 전달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시각의 의미가 업데이트되고 있다. 문득 ‘본다는 것의 의미’에 있는 존 버거의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