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7,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천문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6.05
◇한국천문
연구원
△정책부장 이경숙 △기획부장 설아침 ...
이산화탄소 바꿔 화학원료로 쓴다...세계 최대 규모 플랜트 완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6.05
울산공장에서 ‘CO2 활용 건식개질 플랜트’ 완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성과는 화학
연구원
과 부흥산업사와의 오랜 기간 공동연구 결과물이다. 소재부터 공정까지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됐다. 2024년부터 탄소 포집 및 활용 제품을 본격 생산할 계획이다. 수소와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합성가스는 ... ...
"접시에서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 5년 내 상용화"
과학동아
l
2023.06.05
‘엔지니어링 오가노이드 인텔리전스’라는 관련 연구 프로그램이 시작됐다. 케이건
연구원
은 뇌세포 바이오컴퓨터가 실용화되는 데 5년이 채 걸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필요로 하는 누구든 바이오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코티컬 랩스가 ... ...
리튬전지보다 저렴한 마그네슘전지 상용화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6.04
통해 반응 면적을 극대화, 충방전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민아 선임
연구원
은 “마그네슘 이차전지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고에너지밀도 마그네슘 이차전지 상용화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일상 회복됐지만...미래 글로벌 감염병 대응계획, 힘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04
문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선택사항도 포함돼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리
연구원
은 “치료제 개발에 막대한 자원과 시간을 투입하는 제약사들이 이번에 공개된 초안작성 과정에 로비를 해온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백신이나 치료제에 대한 공평한 접근이 이뤄지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세계 영장류 233종 유전체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3.06.04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샤오광치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명과학
연구원
은 생태학적, 지질학적, 행동적 분석과 유전체 분석을 통합해 추운 환경에 서식하는 콜로빈 영장류가 더 크고 복잡한 그룹으로 사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 ...
[잠깐과학] 수명 다한 별이 행성 집어삼켜...과학자들 첫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03
삼키고 있는 모습을 포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요. 메사추세츠공과대 키샬레이 드
연구원
은 “50억 년 후 수명을 다한 태양이 급격하게 팽창해 적색거성 단계에 이르렀을 때 이처럼 지구를 집어 삼킬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6월 1일,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 ...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원장에 이상목 연구위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2일 제194회 임시이사회를 열고 이상목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연구위원을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신임 원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5일부터 3년간이다. 이상목 신임원장은 1986년 연세대 금속공학 학사를, 동대학에서 1989년 금속공학 석사와1997년 금속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0년 ... ...
꼬마위성 2기 '미아'인데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대부분 위성의 궤도 투입 과정이 순조롭게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고정환 한국항공
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본부장은 “한번도 해보지 않았던 작업이기 때문에 보통 일이 아니다"라며 새로운 사출 방식을 성공시키기 위해 각별히 신경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누리호에 실린 위성들의 임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8년부터 교육부가 주최하고 KAIST 과학영재교육
연구원
이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을 맡아왔다. 지난 5년간 총 2693명의 학생과 2693명의 교사가 1:1로 매칭돼 참여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동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가 감압점착제에 온도 응성을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