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9,99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말했다. 시아넬과 엽록체의 결정적인 차이, 즉 광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모두
갖고 있느냐 일부를 세포핵 게놈으로 넘기느냐가 관건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이런 차이가 엽록체로 광합성을 하는 진핵생물의 기원이 되는 내공생이 왜 긴 지구 역사상 한 번만 일어났는가를 이해하는데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04
에어로졸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말이다.하지만 두 교수
모두
에어로졸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인정했다. 김 교수는 한 예로 에어로졸이 제트기류의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들었다.그의 말에 따르면 에어로졸이 대기 상공에서 태양에너지를 ... ...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04
지지 않는다.직업의식일까, 게임을 즐겨서일까. 김씨는 영웅서기3 기획자답게 10개 직업
모두
‘만렙’(최고레벨) 캐릭터를 직접 키웠다. 그런 김 씨도 영웅서기3 네트워크에 접속해 일반 게이머들하고 대전을 하면 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게임의 매력이란 이런게 아닐까요? 게임 개발자인 저도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04
토코비닌 박사의 자료에 따르면 V994 Her처럼 쌍성과 쌍성이 서로 공전하는 다중성은
모두
37개다.두 별이 서로 공전하는 주기와 반지름을 파악할 수 있다면 각 별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쌍성 주변에 제3의 천체가 존재한다면 그 천체의 질량도 알아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부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04
에너지 개발은 이제 인류
모두
에게 절박한 과제가 됐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환경오염이 심각해졌고, 기존의 에너지원이 점차 고갈돼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에너지는 화석연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인 매장량의 한계성과 환경오염원 배출이 없어야 한다. 이번 호에서는 대체 에너지로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04
같다. 인간의 마음은 뇌 속에 들어있는 걸까? 기쁨, 행복, 슬픔, 몰입… 이 모든 감정이
모두
다 뇌가 수행하는 연산에 불과하단 말인가? 뇌를 알게 되면 인간을 이해할 수 있을까? 수천 년 혹은 수만 년 동안 인류가 끊임없이 던져왔던 질문이 뇌의 연구를 통해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 도대체 우리는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04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본래 C3식물에서 진화한 C4식물은 C3식물의 잠재력을
모두
갖고 있지만 반대로 C3식물을 C4식물로 전환하려면 어떤 유전자가 필요한지 바로 알 수 없다.일부 벼에서는 C4벼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유전자도 발견됐다. 존 쉬히 박사는 “몇몇 야생 벼에서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04
신경과학자들이 명쾌한 답을 내놓았다.‘로또의 달인? 한 장에 같은 번호 다섯 번 적어
모두
1등 44억’3월 9일자 동아일보에 난 기사제목이다. 보통사람은 숫자 6개 가운데 3개를 맞추는 5등을 하기도 힘든데 같은 숫자들을 다섯 번이나 적어 1등에 5중으로 당첨됐다니 꼭 만우절 기사같다. 호기심에서 ... ...
각주구검(刻舟求劍)과 좌표평면
과학동아
l
200904
같기 때문에 a와 같은 벡터다. 즉 이 벡터들을 평행이동해 시작점을 원점에 맞추면
모두
a와 완전히 포개진다.좌표평면의 도입이 수학발전에 기여한 또 다른 예는 바로 복소수 z=a+bi(a, b는 실수)의 표현이다. 즉 실수축 2개를 직교하도록 해 도입됐던 좌표평면(2차원)의 축 하나를 허수로 바꿔 실수축과 ... ...
그래프 분석해 패턴 찾아내기
과학동아
l
200904
는 에 이차함수(①)와 지수함수(②)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언뜻 봐서는 두 그래프
모두
자료를 잘 반영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두 가능성을 구분하기 위해 ‘직선’을 이용해보자(기울기와 y절편의 차이는 고려하지 말자). 직선의 모양은 한가지라서 종류가 다양한 곡선과 달리 자료들 사이의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