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크백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추세에 발맞추어 디스크도 점차 고용량 고속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함께
기존
자기디스크와는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디스크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CD롬 광자기디스크 플롭티컬디스크 실리콘디스크 등이 이들이다. 작은 매체에 보다 많은 정보를 편리하게 기록하고 보존하려는 디스크기술의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플루토늄과 우라늄을 혼합한 혼합 산화물(MOX) 핵연료를
기존
의 경수로에 부분적으로 장전, 사용하고 있다.네겹으로 포장해 수송플루토늄 동위체 가운데 ${ }^{238}$Pu 역시 공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α선에 의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초소형의 전지와 ... ...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브리티시 텔레콤사의 책임하에 수행되고 있다(총 공사비 1천8백만파운드).슈퍼자넷은
기존
의 자넷(JANET, Joint Academic Networt)과 공존하게 되는데 올 3월까지는 먼저 6개소 (케임브리지대학 에딘버러대학 멘체스터대학 임페리얼대학 런던소재 유니버시티칼리지 러더포드 애플레턴연구소)에 깔릴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롤러코스터를 어떤 소재로 제작할 것인지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신소재냐,
기존
의 소재냐를 놓고 설왕설래가 오가는 것이 아니라 둘다 구소재(?)인 철과 나무 사이에서 선택을 망설이고 있다.블랙풀 라이드는 그 기본골격이 철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바다에서 불어오는 염분이 다량 함유된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양성자를 충돌시켜 질량중심계 에너지를 16TeV까지 얻을 수 있는 원형가속기이다.
기존
의 둘레 27㎞의 전자 양전자 가속기인 LEP의 지하 터널을 이용할 계획이므로 SSC보다는 빠른 시간 내에 완공될 가능성이 크다. 이 LHC 역시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참여 중이다.입자물리 가속기가 우리 실생활에 무슨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되었다.20세기 초반의 이러한 사건들을 거쳐 현대물리학이 자라나게 되었다. 때로는
기존
이론에 정면으로 거역하는, 따라서 처음에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설명들이었지만, 이 '반역'에 의해 물질의 기본입자인 원자의 모양이 밝혀졌다. 이제까지 언급된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만큼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 법에서는 미국에서 새로 건조되는 유조선은 이중바닥으로 하도록 하고 2015년까지
기존
의 유조선을 완전 대체하도록 하는 등 사고의 예방과 방제, 피해보상을 위한 여러 제도들을 마련했다. 한편 1990년에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후원하에 전세계 94개국이 참석하여 유류오염의 예방, 대책 및 협력에 ... ...
2. 차세대 디스크 장치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실리콘디스크는 실리콘(반도체)으로 하드디스크와 같이 조작할 수 있는 외부 기억장치로
기존
하드디스크보다 우수한 고속성을 가지며 배터리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도 데이터를 계속 보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스나 응용소프트웨어에서는 하드디스크로 인식되므로 초고속 ... ...
첨단 수송장치 PRT현실화될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된다. 즉 선로는 차량 한대에 해당하는 정적(靜的) 하중만을 받게 설계돼 있다. 앤더슨은
기존
의 선로에 비해 무게가 15분의 1정도 밖에 안되는 선로를 가설해도 자신의 PRT시스템을 잘 운용할 수 있다고 장담한다.결국 이제 남은 일은 앤더슨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현실화하는 것 뿐이다. 하지만 이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사랑하는 이들에게 한가지 안타까운 게 있다. 한국 고유의 꽃을 소개한 책이 드문 데다
기존
에 나와있는 책들마저 내용이 충실치 못해 이전까지 보지 못한 꽃을 발견해도 이름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될 수 있는대로 보기 힘든 우리 꽃을 찾아내 사진에 담아두려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