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단백질(SMAD4)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를 발견해 7월 29일 국제학술지 ‘유전자와 발생’에 발표했어요. 즉,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게끔 도와주는 miRNA를 발견한 거죠.그: 단백질은 아니지만,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군요. 그럼… (눈을 희번득하게 뜨며) 결과적으로 당신 피를 주입하면 노화를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들어있는 ‘레스베라트롤’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논문에 따르면 12온스(약 340g) 만큼의 레스베라트롤을 투여한 쥐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체중이 약 40% 가량 덜 나갔다. 연구를 진행한 민 두 교수는 미국의 과학 매체 사이언스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 ...
- 발걸음이 가벼워지는 특수 부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부츠를 신는 것만으로 걷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7% 정도 절약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지금까지 걸음을 도와 주는 기기들은 많이 개발됐지만 항상 전기가 필요했지요.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콜린스 교수팀은 전기 없이도 걸음에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 ...
- [수학뉴스] 세계 인구 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약 112억 명이 된다는 결과를 8월 10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2015 연합통계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윌모스는 세계인구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 대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현재 약 12억 명인 아프리카 대륙의 인구는 21세기 말에는 최대 약 56억 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라고 합니다.윌모스는 꾸준히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2015’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이 새로운 수학 모형을 발표했습니다. 카메라가 불필요한 빛은 제거하고 꼭 필요한 양만큼만 빛을 모아 뚜렷한 입체 사진을 얻는 원리예요. 사진을 찍으려는 사물의 윤곽을 나타내는 신호만 받아 사진으로 나타내는 것이지요. 연구팀이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화합물을 쓰기도 했다.1991년 일본 메이조대의 화학자 스미오 이이지마는 풀러렌이 발표되자, 풀러렌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분자 찾기에 돌입했다. 다른 결합 방식으로 생기는 새로운 분자를 찾으려고 한 것이다. 이이지마도 흑연 실험을 진행하며, 그을음뿐만 아니라 실험 전후의 흑연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배경, 실생활에서 쓰이는 수학, 사회에 영향을 끼친 수학 같은 다양한 내용을 조사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박형주 교수도 “시험문제도 단순히 유형을 암기해서는 풀 수 없는 서술형 문제 위주로 내야 수학 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 개념을 알게 되니까 나중에 배울 때도 기억이 잘 나더라고요. 또 친구들 앞에서 발표를 하면서 어려운 부분도 설명해 나가는 과정에서 저 스스로 더 잘 이해하게 돼서 좋았어요.” 3학년 정천영 학생의 말이다.그냥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 안에 수학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책을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호주 맬버른대의 다니옐 클롬프 박사팀은 최근 플라잉드래곤에 대한 재밌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보르네오에 사는 다양한 플라잉드래곤을 여러 시간 동안 관찰하고 행동을 녹화한 결과, 사는 나무의 잎 색깔에 따라 도마뱀의 날개색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연안지역의 맹그로브 숲에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미분법은 다소 달랐다. 그는 독립적인 연구 끝에 20여 년 뒤인 1684년, 미분공식을 확립해 발표했다. 함수 f(x)에서 x가 무한히 작은 양만큼 변할 때 f(x)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수, 함수의 합과 차, 곱과 나누기는 물론 함수의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 등을 미분하는 법칙도 공식화했다.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