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컷이 암컷이 되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않을지가 더 큰 고민거리가 되었다.“어쨌든, 이번 사건은 갑작스런 지구의 기온
변화
가 만들어 낸 일이군요. 황당하면서도 안타까운 일이지요.”“지금 이 순간도 이산화탄소를 펑펑 내놓고 있는 인간들이 우리 파충류들의 안타까운 마음을 알까요?”사건이 해결되자 어느새 화해의 분위기가 ... ...
한국인 뇌지도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한국인의 뇌지도가 올해 안에 나올 전망이에요. 이 뇌지도는 가천의과대학교 조장희 박사가 만들고 있는데요, 뇌 사진 위에 뇌줄기나 피질, 혈관 ... 나오면 앞으로 정교한 뇌 수술을 할 때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어요. 또 뇌의 아주 작은
변화
도 잡아 내서 뇌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거예요 ... ...
온실가스 늘리는 지렁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렁이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북미 지역에 분포하는 숲의 토양을 분석한 미국 퍼듀대 티모시 필리 교수팀은 지렁 ... 양이 변할 수 있다”며 “지렁이의 분포와 활동을 계속 연구하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유는 계절에 따라 물리화학적 성질이 달라지므로 부유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체형을
변화
시키기 때문이다 이 플랑크톤은 어류의 먹이로서 중요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다간균과의 호기성 세균의 하나 자연계에 매우 널리 분포하는 비병원성의 세균으로 특히 공기중 마른 풀 하수 토양속에 많이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박테리아를 넣은 배양기를 인공위성으로 만들어 우주에 띄운 뒤 박테리아의 DNA에 어떤
변화
가 있는지 조사한다.NASA는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위성본체를 만드는 일을 모두 대학생들에게 맡겼다. 칼폴리대학생들은 인공위성이 우주에 올라간 뒤 로켓에서 분리되는 장치를 만들었고,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계산하는 위치천문학이었다. 달력을 만들기 위해 위치를 계산하는 역법은 물론 천체들의
변화
를 해석하는 점성술도 마찬가지였다. 천문관들은 햇무리나 달무리, 혜성이나 유성, 초신성을 열심히 관측했지만, 현상의 물리적 원인을 탐구하는 데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그들에게 망원경은 있으면 ... ...
두얼굴의여친 다중인격장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다중인격에서 의도적으로 인격을 바꾸는 일이 가능할까.사실 다중인격장애 환자의 인격
변화
는 예측할 수 없다. 어떤 경우에는 저절로 바뀌지만 최면이나 아미탈 면담(Amytal interview)을 통해 일어날 수도 있다. 아미탈 면담은 최면제를 투여해 환자를 무의식 상태로 유도하는 면담법으로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입력진폭(入力振福)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얇은 금속으로 만든 진공상자가 기압의
변화
에 따라 신축(伸縮)하는 것을 이용한 기압계 아네로이드란 그리스어로「액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극지 · 사막 · 고산 지역 등 인간의 일상적 거주가 불가능한 비거주(非居住) 지역 외쿠메네(Okumene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유럽연합의 과학자가 각각 5명씩 승선했다.장 교수는 드릴이 구멍을 뚫을 때 지각에 어떤
변화
가 일어나는지 연구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과학자마다 각각 연구계획서를 제출했기 때문에 어떤 연구를 맡게 될지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과학자들도 이번 시추의 중요성을 알기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용해 숙주세포 표면에 붙는다. 수소이온이 헤마그글루티닌의 구조를
변화
시켜 바이러스 표피와 숙주세포막이 융합한다. 이 과정에서 M2단백질을 통해 수소이온이 바이러스 안으로 들어간다. 수소이온은 바이러스의 핵산을 활성화하고 숙주세포로 침투하도록 돕는다. 만약 막단백질인 M2를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