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속도로 타격한다는 가정 하에서 주먹의 힘을 구해볼 수 있다.힘은 질량에 가속도를 곱한
양
이기 때문에 가속도를 알아야 한다. 등가속도운동에 따르면 가속도는 ${속도}^{2}$/(2×거리)이므로 225m/s²이다. 따라서 힘은 4000kg×225m/s²=90만kg·m/s², 즉 90만N(뉴턴, 힘의 단위)이다. 1N은 질량 1kg의 물체에 ... ...
집안 화초 내가 살린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선인장은 야간에 광합성을 하기 때문이다. 모
양
이 다른 선인장을 한 화분에 모아 심는 것도 요령이다.5. 흡연자를 위해추운 겨울에도 담배를 피운다고 구박하는 가족을 피해 베란다에 나가는 흡연자를 위해 스파티필름이 제격이다. 불완전 연소된 이산화질소와 ... ...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예보센터를 갖추고 이런 재난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은 태
양
활동과 우주날씨를 모니터하고 초보적인 우주날씨를 예보하고 있다. 우주날씨를 정확히 예보하기 위해서는 우주날씨 예보센터가 절실하다.머지않아 우주탐사나 우주여행이 빈번해질 텐데, 우주날씨 ... ...
신출귀몰 조류 인플루엔자(AI)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대사, 감각 수용, 뇌와 신경계의 생리, 세포의 분화 · 증식의 제어 메커니즘 등 미크로(
양
자적 · 분자적) 수준에서 거시적 수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생체 내 여러 현상 및 생체 구성성분의 구조 · 성질 등을 물리화학적 수단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은 복잡한 생명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싸지만 성능이 떨어진다.신장 같이 큰 장기의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와 영
양
분을 공급하는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프린팅 기술로 세포가 빨리 증식할 경우 비정상적으로 성장할 수도 있다.하지만 인간이 무병장수와 영생(永生)을 꿈꾸는 이상, 머지않아 깨끗한 얼굴 피부를 프린트해 ... ...
산 위의 산 주왕산 깃발바위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온도 변화에 따라 응결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암석 표면에는 주상절리라 불리는 기둥 모
양
의 균열이 생겼다. 이후 암석의 절리면을 따라 수분이 침투했고 물이 얼고 녹으면서 바위들이 수직방향으로 떨어져 나갔다.기암을 비롯한 수많은 주왕산 암봉들은 모두 화산 활동으로 지표에 쌓인 응회암층이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제는 아주 깊은 바닷속에도 다
양
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지요.심해 생물에 대한 사진을 본 적이 있나요? 거대한 오징어나 문어, 갈치가 헤엄치고 몸이 투명하거나 눈이 없는 물고기들 혹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희한한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파동의 2중성을 고전적 입장에서 이해하기 위해 1927년에 W 하이젠베르크가 유도한 원리
양
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하게 규정한 순수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 ...
게으른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G씨의 식단은 탄수화물 위주이고 H씨의 식단은 단백질 위주다. G와 H씨가 500g의 똑같은
양
을 먹고 다른 모든 조건이 같다고 가정할 때 누가 더 살이 찌기 쉬울까? 정답은 G씨다.단백질은 많은 부분이 인체의 장기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쓰이는 반면 탄수화물은 거의 대부분이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기 ... ...
허리를 웃게 하자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말한다. 아시혈을 자극하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많이 감소한다.대체로 척추를 따라
양
옆의 1~2cm되는 곳을 손가락으로 눌러 직접 아시혈을 찾아낸 다음 손가락으로 지압해서 근육을 풀어주면 좋다.허리 통증은 잘못된 생활습관과 자세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도 큰 원인이다.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