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최초"(으)로 총 6,4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금까지 이런 게놈은 없었다…컴퓨터로 디자인한 인공게놈 첫 탄생동아사이언스 l2019.04.02
- 유전정보를 말한다. 크레이그 벤터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장 연구팀은 2010년 세계 최초로 인공 세균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때는 실제 세균(마이코플라스마 마이코이데스)의 전체 게놈을 인공적으로 합성하거나, 생존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만 합성해 만들었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 ...
- UNIST 연구진,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4.01
- 산업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국내 최초로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에 도전해 저비용·고효율을 달성한 이번 연구가 국내 태양광 산업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 ...
- 청계천, 세운상가, DDP... 거리로 나온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9.04.01
- 만난다. KSTAR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플라스마 온도 1억 도를 달성했다. 19일에는 1887년 최초로 전기가 사용된 서울 경복궁 흥례문 광장에서 과학축제 전야제가 열린다. 23일까지 청계천과 서울마당, 세운상가, DDP 일대에서는 출연연구기관과 KAIST 등 과학기술 특성화대학의 과학기술 성과와 다양한 ... ...
- [Science토크] 지구상 가장 빠른 '탈 것'들의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9.03.31
- 트랜스포테이션 테크놀로지(HTT)’가 지난해 10월 실제 크기 하이퍼루프 세계 최초로 캡슐 시제품 ‘퀸테로 원’을 공개한 뒤 이번에는 프랑스에 시험 운행 트랙까지 완공한 것이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12월 10일 LA 인근에서 하이퍼루트 터널을 공개하기도 했다. HTT의 하이퍼루프 실제 캡슐 ... ...
- 에이즈 환자끼리 신장 이식, 세계 최초로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9.03.29
- 의대 연구팀이 에이즈 환자의 신장을 다른 에이즈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에 최초로 성공했다. 에이즈는 HIV(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기는 질환이다. 존스홉킨스대는 도리 세게프 외과 교수팀이 지난 25일 이식수술을 했으며, 다행히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 신장 기증자와 수증자 모두 ... ...
- ‘과학계 어벤저스’, 7인을 주목하라과학동아 l2019.03.29
- 002∼2003년 세포 안에서 발견되는 짧은 외가닥 유전물질인 ‘마이크로RNA’의 생성 과정을 최초로 규명하고 생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마이크로RNA는 세포 안에서 발생, 성장, 노화 등 다양한 생명 현상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마이크로RNA가 제대로 생성되지 ... ...
- [의학게시판] 이승엽 야구장학재단, 사랑의 소아혈액암 후원금 전달 外동아사이언스 l2019.03.27
- 일본에서 국가 암 등록 사업의 표준 검사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번이 최초다. 온코민 종합분석 V3는 암 관련 유전자 161개를 검사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훨씬 정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이 4월 2일 ‘치아교정의 날’을 맞아 무료건강강좌 개최한다. ... ...
- 펜스 부통령 "美, 5년 내로 달에 우주인 보낼 것"동아사이언스 l2019.03.27
- 빠르게 앞당기는 이유는 중국을 염두에 든 움직임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올해 초 인류 최초로 달 탐사선을 달의 뒷면에 내려앉히는 데 성공하는 등 성과를 보여주자 미국이 반격에 나섰다는 것이다. 펜스 부통령은 “오늘날 우리는 마치 1960년대처럼 우주 경쟁 시대에 살고 있다”며 냉전 시절 ... ...
- 안테나가 디스플레이 속으로...5G용 디스플레이 일체형 안테나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9.03.27
-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이런 가운데, 국내 기업과 대학이 세계 최초로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안테나 역할을 겸비하도록 하는 새로운 휴대전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27일 포스텍에 따르면, 홍원빈 전자전기공학과 교수팀은 동우화인켐, SK텔레콤, LG전자, ... ...
- "의료·IT 뒷받침된 천만 게놈 프로젝트, 한국의 미래 이끌 것" 동아사이언스 l2019.03.27
- 없다. 하지만 유전자를 조절하는 부분이 조금씩 달라진다. 이 사실을 우리 연구팀이 최초로 발견했다. 가령 이매티닙이라는 항암제는 특정 유전자를 조절하는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데, 몇몇 한국인은 여기 염기서열이 6000개쯤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한국인의 약 7~8%가 이 약이 듣지 않는다.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