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니메이션
애니
카툰
만평
에니메이션
애니매이션
애니메
d라이브러리
"
만화
"(으)로 총 63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이미 임진왜란 때 하늘을 날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만화
에서 진주성을 포위한 왜군들을 공포에 떨게 한 존재는 과연 무엇일까요? 어렴풋이 하늘에 떠 있는 모습이 흡사 비행기 같은데요. 그렇다면 400년도 훨씬 더 된 임진왜란 때 이미 우리 조상들은 하늘을 날았다는 말이 되는데, 사실이라면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비차’라고 불리는 이 비행기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달을 관측해 보면 검은 부분이 있는데 정말로 토끼와 절구처럼 보입니다. 아직도 못 본 사람은 이번 추석 보름달이 떴을 때 꼭 확인하기 바랍니다. 동산에 보름달이 걸려 있을 때에는 토끼가 달의 왼쪽에 앉아 있다는 사실에 주의하세요. 검은 부분은‘바다’라고 불립니다만 실제로 물이 있는 것은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나갔답니다. 물론 이런 장면들 역시 카메라로 찍어 지구로 전송되었죠. 공상과학영화나
만화
에서는 이런 장면을 흔히 보았지만 이렇게 우주유영을 하면서 직접 우주선을 수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 역사적인 순간이었답니다. 아름다운 귀환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이끈 아일린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이번에는 조각달을 타고 노는 신령들의 모습을 그려 봤습니다. 우주신령이 부르는 노래는‘ 산타루치아’라는 이탈리아 노래 가사 중에서“내 배는 살같이 바다를 지난다”부분을 바꿔 본 것입니다. 여기서‘ 살’이란‘화살’을 말합니다. 실제 우주는 거의 진공이기 때문에 노를 젓는다고 배가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목성의 지름은 지구의 지름보다 10배 이상 크고 표면은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목성은 약 10시간에 한 번 자전한답니다. 그래서 목성은 공 모양이 아니라 타원 모양으로 찌그러져 있고 줄무늬도 뚜렷합니다. 그리고 대적반이라고 하는, 지구보다 훨씬 큰 점이 있는데 이것은 일종 ... ...
'내 사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사람을 닮은 로봇의 모습은 상상만 해도 흥분되는 것이었으니 말이다. 그 상상력 덕분에
만화
나 게임 속에서 하늘을 날고 외계인을 무찌르는 다소 황당한 로봇도 등장했다. 하지만 그런 기발한 상상력에 로봇에 대한 뜨거운 애정이 더해져서 로봇 기술은 큰 발전을 이루었고, 머지않아 로봇들은 우리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5
우리 지구는 생명의 낙원입니다.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고 공기도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림에서처럼 우주 밖에서 태평양 부분을 보면 육지는 거의 보이지 않고 바다만 보인답니다. 공기는 지구 밖 우주공간으로부터 들어오는 우리 몸에 해로운 자외선이나 엑스선 같은 빛도 대부분 차단해 ... ...
생태계에 꼭! 필요한 작은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5
만화
에서 본 것처럼 우리 주위에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수많은 작은 생물들이 살고 있답니다. 유리창에 붙어 있는 하루살이를 보며 ‘며칠 살지도 못 하는데 왜 태어났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을거예요. 하지만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은 아무런 이유 없이 세상에 나온 것이 아니랍니다. ... ...
구름,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과정도 소나기가 내리고 비가 그치면 다시 햇빛이 비치는 날씨와 많이 닮았답니다.
만화
를 통해서 배운 것처럼 물은 비가 오지 않아도 공기 중에 항상 존재한답니다. 사라지지 않고 항상 움직이고 있지요.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단원 8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물의 이동’. 물이 움직이면서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토성의 고리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지구에서 보면 고리가 두 개처럼 보이고 그 사이에 까만 틈이 있답니다. 이 틈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카시니가 발견했습니다. 최근 토성 탐사선의 이름을 카시니라고 지은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는 두 개가 아니라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