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1등만 선물을 받았냐고? 당연히 그건 아니지! 팬파티에 참석한 친구들은 모두 섭섭박사님이 특별 제작한 전세계에 하나뿐인 섭섭박사 이어폰 홀더와 솔이 캐릭터가 그러진 텀블러와 파우치, 그리고 재미있는 과학책을 선물로 받았거든. 선물이 정말 푸짐하지?팬파티에 함께해 주신 홍승우 작가님은 ... ...
- [현장취재] 찾아라! 하인슈타인 GO!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중국에서 반도체 비밀기지를 찾다!“어? 여기 중국 맞아?”탐험대원들이 먼저 찾아간 곳은 SK하이닉스반도체(중국)유한공사예요. 마치 우리나라에 있는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을 중국에 옮겨 놓은 느낌이었답니다. 반도체를 제작하는 클린룸 천장에서는 네모난 상자들이 레일을 타고 돌아다니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지진이 바다에서 일어나면서 건물 3층 높이의 지진 해일(쓰나미)이 육지를 덮쳤어요(윗 사진). 이처럼 채 5분을 넘지 않는 짧은 시간 안에 주변 일대를 쑥대밭으로 만들 만큼 지진의 위력은 강력하답니다. 떡처럼 말랑말랑한 물체는 힘을 주면 모양이 변하지만, 플라스틱처럼 딱딱한 물체는 힘을 많이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그러면 마치 얼굴 모양을 파낸 뒤 물감으로 찍어낸 판화처럼 되지요. 이 단순한 형태의 사진을 격자로 나누고, 격자 한 칸의 색의 진하기에 따라 1과 0으로 값을 주어 정보로 저장한답니다.걸음걸이, 다리의 각도를 파악하라!걸음걸이도 열쇠가 될 수 있어요. 사람마다 다리 모양과 근육 강도, 힘줄의 ...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확인했지요. 또 새로운 종인 ‘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 개미도 발견했답니다(위 사진). 이 개미는 몸길이가 0.7cm 정도이고, 길고 큰 주둥이로 흰개미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먹지요.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는 자연 상태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웠어요. 하지만 이 개미를 개구리가 먹은 뒤에 그 위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똑같은 물건인데도 크기나 거리가 달라 보이고, 오른팔과 왼팔의 감각이 헷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비밀은 여러 감각이 받아들인 정보가 합쳐지는 ‘감각통합’에 있답니다.➊시각음식인 것 같아. 전에 먹었던 바나나같이 생겼어. 그런데 바나나라고 하기엔 좀 하얗네?➋촉각촉감은 부드러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거울은 현대 과학에서도 크게 활약하고 있어요. 만약 거울이 없었다면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 수 없을 거예요. 카메라 속 거울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반사시켜 필름이나 이미지 센서에 상이 맺히도록 해 주거든요.또 거울은 하늘의 별을 관찰하고 우주의 역사를 알 수 있게 해 줘요.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모양에서 특이점을 찾아내는 방식이에요.일단 지문 인식기에 손가락을 갖다 대면 센서가 사진을 찍듯 지문을 감지해요. 그리고는 지문의 융선을 선 형태의 정보로 만들어 컴퓨터로 전달하지요. 컴퓨터는 여러 가지 융선 중 구부러진 부분, 끊긴 부분, 점이나 실선이 있는 부분 등을 특이점으로 잡고, ... ...
- [현장취재] 국립수목원에 사는 9가지 귀화식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돼요. 대원들이 동네나 학교 등지에 살고 있는 귀화식물을 보고 사진과 위치 정보를 앱에 올리면 귀화식물의 전국 분포를 알 수 있지요.라이노비틀즈 팀의 곽수진 학생은 “가을 귀화식물에 대해 깊이 있게 탐사해서 무척 유익했다”며, “다음 교육 때도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이런 것을 흔히 시각이 착각을 했다고 해서 ‘착시’라고 해요. 하지만 B가 밝게 보이는 것은 시각이 잘못됐기 때문은 아니랍니다. 김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