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408
약함을 느낄 수 있다.그러나 컴퓨터그래픽의 깊이는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다. 보통
셀
애니메이션(sell animation) 기법을 고수하는 만화영화에서도 컴퓨터그래픽의 중간과정을 이용해 밑그림을 잡아보고, 전체적인 틀을 구상한다. 컴퓨터 안 3차원의 공간에 인물들을 넣어서 움직임을 미리 보고 그 ... ...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08
만들어 준다. 올 여름에는 사람만 많은 피서지가 아니라 시골 할머니 집을 찾아가
셀
수없이 많은 별들을 보며, 또 무한의 시공이 존재하는 우주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 장래의 꿈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 페르세우스 유성우, 13일 극대기92년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07
편집부로 보내주면 기록을 보아 천문학자들에게 보내질 것이다. ■ 천왕성 해왕성 충허
셀
에 의해 처음 발견된 태양계의 7번째 행성 천왕성이 이달 17일에 충이 된다. 이때의 광도는 5.6등급이고 시지름은 3.8초다. 맨눈으로 보기는 힘들고 쌍안경 정도의 관측장비를 동원하면 볼 수 있겠지만 별들과 ... ...
(4) 슈메이커-레비 혜성, 새 목성테 형성
과학동아
l
199407
마당에 돗자리를 깔아 놓고 누워서 별똥별의 숫자를 세어 보면 한시간에 약 10개 정도를
셀
수 있다. 이 별똥별 소나기는 1년 중 여러번 일어나지만, 특히 7월말부터 8월 중순 사이에 일어나는 페르세우스 별똥별 소나기가 제일 유명하다. 이 별똥별 소나기는 1백 35년 주기를 가진 스위프트-터틀이라는 ... ...
화학 - 물질구성 입자단위 1몰 6×${10}^{23}$의 의미
과학동아
l
199406
세계도 무한하다. 그런데 이 엄청나게 많은 수의 원자나 분자수를 저울 하나 가지고
셀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이 참으로 지혜로운 존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좀더 1몰 크기를 실감나게 느끼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상적인 상황을 살펴보자. 만일 쌀 1몰을 우리나라 전국토에 균일한 두께로 깔 경우 어느 ... ...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9405
50만개가 있다. 사람의 몸은 약 6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면 이 숫자를 어떻게
셀
수 있는 것일까?현미경 아래에서 세포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덮개 유리와의 사이에 일정한 깊이를 갖고, 일정한 간격의 사방 눈금을 새긴 슬라이드에 균부유액을 취하여 현미경 아래서 구획내의 총균수를 ... ...
아시아 어린이 언어체계 때문에 수학 잘 한다
과학동아
l
199405
1백까지를 어떤 방식으로 세는지 살펴보면 그의 주장은 쉽게 이해된다. 예를 들어 11을
셀
때 우리는 기본적인 수 규칙에 의해 10과 1이 합쳐진 '십일'이라고 부르는 반면 영어에서는 1과 10의 의미와 전혀 연관성이 없는 '일레븐'으로 불린다. 이 같은 규칙은 동양의 계산 방식이 수의 개념을 강조하는 ... ...
윈도즈용 프로그램 베스트 15
과학동아
l
199405
함께 대각선 그리기도 가능하다. 그리고 끌어서 놓기 방식(drag & drop)을 이용해서
셀
의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도표내 수치의 합계나 평균을 내는 등표 계산 기능도 있다. 사용 가능한 한글 글꼴은 기본 4종류와 함께 신그래픽체 옛체 견명조체 견고딕체 헤드라인체 샘물체 순명조체 엽서체 등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04
유한해 지게 되어 밤하늘은 어두울 수밖에 없어진다.그러나 이러한 결론이 나온 것은 허
셀
의 관측이 우리 은하 내에 있는 별에 국한되었기 때문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우리 은하 내에 있는 것으로 여겨졌던 안드로메다 성운이 2백만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외부 은하로서 우리 은하와 마찬가지로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02
인색하지 않도록 만든 것이다.25년간 존재 추정 돼온 형태조성지시 유전자생물학 권위지 '
셀
(Cell)' 이번 호에는 발생생물학자들이 하나의 세포인 수정란으로부터 완전한 동물로 발생하는 복잡한 과정을 탐구하면서 지난 25년간 찾아오던 것을 드디어 밝혀냈다는 세 팀의 과학자들의 보고가 실렸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