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05
완전히 노출돼 있다. 이것은 제한된 공간에 많은 객석을 배치하고 발코니를 많이 돌출해
시야
를 가리는 오늘날의 많은 연주장과 비교된다.둘째는 실내마감의 상태이다. 이 홀들은 약 10년에서 20년 정도 오랜 시간에 걸쳐 지은 것으로서 홀 내부에는 많은 조각과 부조 그리고 화려한 장식으로 벽과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04
2π×42°/360×1,000m≒730m다). 즉 지표면 위 1km 지점에 있는 물방울에서 나오는 빨간색 빛은
시야
로 들어오지 않는다.그런데 물방울에서 나오는 보라색 빛은 빨간색보다 2。 높으므로 내 머리(
시야
)의 30m(2π×2°/360×1,000m≒30m) 위를 지난다. 따라서 그 물방울에서 나오는 보라색 빛은 내 눈으로 들어오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03
다만 누런 먼지가 공중에 퍼져 마치 안개가 낀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들은 햇빛을 차단해
시야
가 흐려지고 하늘이 황갈색으로 변하므로 안개와 구분된다. 또한 먼지는 건물이나 자동차 등에 은밀하게 쌓여 손가락으로 글씨를 쓸 수 있을 정도이다. 황사현상 전후로 비가 내리면 흙비가 돼 건물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03
것과 같은 이치이다. 또 암흑성운이라는 방해자가 훼방을 놓고 있어 우리가 볼 수 있는
시야
는 기껏해야 1만광년 이내로 제한되므로 은하계 전체의 모습을 살피기가 더욱 어렵다. 은하 중심부는 약 3만광년이나 떨어져 있으므로 이곳은 안개처럼 가려져 볼 수 없다.이러한 난제를 해결해준 천리안이 ... ...
별무리 보석상자 산개성단
과학동아
l
199902
밝은 별을 찾아 단계별로 접근해가도록 한다.산개성단은 주로 넓게 퍼져 있으므로
시야
가 넓은 망원경이 더 유리하다. 특히 은하수를 배경으로 많은 별들 속에 파묻혀 있는 산개성단은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관찰할 수 있다. 구상성단은 산개성단에 비해 훨씬 많은 별들을 가지고 있으며, 작고 흐리게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01
보면 색상이 엉망이 돼 화질이 점점 나빠진다. 그러므로 LCD로 CRT와 같은 화질을 얻기위해
시야
각을 넓히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무한히 커지면 안되나?근래 고화질 TV(HDTV)니 디지털 TV니 하는 말을 많이 듣는데, 이는 현재 우리가 시청하고 있는 TV보다 화질이 두배 이상 개선된 TV이다. 이러한 TV는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12
않던 곳에서 갑자기 나타나 수십일에서 수백일에 걸쳐 밝게 빛나다가 서서히 우리의
시야
에서 사라진다. 특히 우리 은하 내에 있는 별이 신성이나 초신성으로 폭발할 경우, 그 밝기는 대단해 낮에도 보일 정도이다. 실제로 1054년 게자리에서 폭발했던 초신성은 낮에도 볼 수 있었다고 기록될만큼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12
찾아 망원경을 짊어지고 뛰어야 했습니다." 만일 시간으 놓쳐버리면 그 천체는 금새
시야
에서 사라져 버리고 지금까지의 작업은 허사가 돼버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놓쳐버린 소행성이 여러개 된다고 이씨는 말했다.이씨는 대부분의 작업을 혼자 하면서 열악한 장비와 씨름하고, 날씨 좋은 곳을 찾아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11
깔고 눕거나 슬리핑백 속에 들어가 누워 편안한 자세를 취한 다음 하늘을 살펴본다. 보는
시야
를 정하지 말고 하늘의 이곳저곳을 감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평선 부근보다는 고도가 50도 이상 되는 높은 하늘이 적당하다. 만약 밝은 불빛 아래 있다가 왔다면 눈이 어둠에 완전히 적응할 때까지 ... ...
겨울 문턱의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11
별들이 모여있어 작은 망원경으로도 아주 아름답게 보인다. M36과 M38은 쌍안경으로 한
시야
에 보인다. M36은 ‘게’와 닮은 모습인데 세 성단 중 가장 작고 별도 적다. M38은 보다 크고 1백여개의 어두운 별들이 흩어져 있다. M38 아래 화살표가 가리키는 천체는 10등급의 작은 산개성단 NGC1907으로 M38보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