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d라이브러리
"
원통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로봇개발 10년
과학동아
l
198903
저렴했기 때문이다.비슷한 시기에 과학원 정밀 기술센터에서는 초기로봇형태인 4축
원통
좌표형 매니퓰레이터가 첫 개발됐다.그후 과학기술원과 한국기계연구소에서 로봇연구가 이루어져 콘트롤러 센서등의 개발이 계속되다가 83년 기계연구소가 ‘킴보트’(KIMMBOT) I을 개발해 국산로봇 시대의 ... ...
슈퍼컴퓨터 본격가동 우주생성연구에서 영화제작까지
과학동아
l
198902
로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중의 하나이다.CRAY-2S 시스팀은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
형 구조로서 직경 1m35cm, 높이 1m 15cm로 어른의 가슴 높이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외부 방문객 중에서 그것이 실물이 아니고 전시용으로 축소하여 제작한 모조품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크기가 작다 ... ...
고장난 핵추진 인공위성의 위험
과학동아
l
198812
입힌 연료봉 79개(무게로 10kg)를 음극으로 하고 여기서 방출된 열전자가 같은 축 위의 양극
원통
안쪽벽에 도달하여 발전하게 된 시스팀이다. 코스모스 1900에 갖추어진 것도 이 토퍼즈형으로 추정되고 있다.한편 미국에서는 1961년 봄에 최초의 원자로 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렸다. 이것은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
과학동아
l
198804
팔던 로킷은 길이 25cm의 가느다란 대나무의 윗부분에 길이 5cm의 화약이 들어있는
원통
형 종이통이 달려 있다. 이것을 쏠 적에는 길가에 흙을 모아 놓고 거기에 꽂아 종이약통의 아래에 붙어 있는 점화선, 즉 심지에 불을 붙이면 조금 있다가 ‘쉬이잇’하면서 포물선을 그리며 수십m를 날아갔다 ... ...
가야와 진주성싸움유물을 전시한 국립 진주 박물관
과학동아
l
198803
24.0cm 크기이다. 굽다리 위에 속이 비어있고 좌우에 서린 무늬의 뿔이 달려있는 활모양의
원통
잔을 얹고 그 좌우에 수레바퀴를 장식한 모양이다. 이와 같이 바퀴를 좌우에 붙여준 이형(異形) 토기는 이밖에도 함안 말산리 34호분에서 출토된 것이 한점 있다. 갑옷과 어깨가리개 및 투구는 경북 고령 ... ...
PART.2 핵무기의 종류 전략핵 떠받치는 세 기둥
과학동아
l
198803
사용되고 시작했고, 적의 공격에 대비해 견고한 지하 격납고에 보관되기 시작했다. 이
원통
형의 격납고를 보통 '사일로'(silo)라 부른다. 곡물저장창고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2세대 ICBM으론 미국의 타이탄 II와 미니트맨 I, 소련의 SS-7,8,9가 있다.현재 실전배치돼 있는 미국의 지상발사미사일은 모두 ... ...
인간능력과 기계의 결합 로봇이 지능을 갖추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801
가능하도록 돼있다.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작제어가 쉬우며 작업 정밀도도 높다. (b)는
원통
좌표형으로 옆으로는 허리와 같이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허리부분의 상하 굴절운동은 없지만 직각좌표형과 마찬가지로 상하운동으로 그 방향의 작업이 가능하다. (c)는 극좌표형 로봇을 나타내고 있다. 이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01
유지하는 3축자세 안정식 위성이다. 통신방송위성이 대형화되고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통
위성의 태양열전지판은 자전 때문에 1백%활용이 불가능하여 소요전력의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3축 안정형 위성체로 바뀌어지고 있다. 지상정지위성의 위치는 적도상공 3만 6천km의 구역으로 제한이 되어있기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12
로봇을 개발한 곳은 한국과학기술원 정밀기계기술센터로 79년 RTO자동조절장치(4차유도
원통
좌표계형 물품이송적재용)를 비롯 3축서보 PTP컨트롤러를 개발함으로써 로봇국산화의 시금석을 마련했다. 이후 정부가 국가특정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산업용로봇 기술개발에 착수함으로써 일부 기업체가 ... ...
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198712
실험결과의 보고서등을 지상으로 가져가는 일등은 우주선이 맡게된다. 정거장의
원통
중 하나가 우주선의 착륙장이 되는데 초당 5~7cm씩 간격을 좁히고 정거장의 함장과 우주선 선장이 서로보고 대화하며 도킹을 할것이다. 이문제는 이미 상당한 경험을 축적, 별 어려움없이 진행될것이다. 그러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