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증진
증식
확대
확장
증강
증설
d라이브러리
"
증가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04
되고 낙엽이 분해된 유기물이 토양과 섞이면 자연스럽게 토양이 비옥해지고 수분이
증가
한다. 결국 척박한 토양을 좋아하는 소나무에서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는 신갈나무로 바뀔 수밖에 없는 것이다.그러나 반대로 신갈나무숲이 소나무숲으로 바뀌는 것은 천이가 아닌 교란이다. 강도 높은 산불에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04
도심의 사막화 현상은 가속화되고 강한 폭염에 의한 노약자 사망 피해는 더욱 빠르게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규모 정전 현상이 발생하는 도심 지역의 노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폭염 사망자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도심 열환경 조절을 고려한 도시계획이 절실하게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4
더 많이 할수록 옥시토신 분비가
증가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개의 체내에 옥시토신이
증가
한 만큼 주인을 사랑하는 마음이 커진 것이다.사랑의 묘약, 세상을 치료하다엄마와 자녀, 여자와 남자, 사람과 동물, 그리고 동물 사이의 사랑. 이 모든 사랑을 옥시토신이 책임지고 있다니…, 옥시토신은 정말 ... ...
공명 이용한 저전력 정보처리의 길 열려
과학동아
l
201304
이를 X-선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 진폭이 약 4배
증가
했다. 이 운동을 통해 저전력 고효율 정보신호 발생의 길이 열린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04
때 물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권영아 박사는 “지하수가 충분해도 불투수면적이
증가
해 지표면과 지하가 단절돼 버리면 아무 소용이 없다”며 “인공적으로 심은 나무를 살리기 위해 가로수에 물을 주고 다녀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건조한 대기가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04
)하게도 소련의 농업은 점점 쇠퇴하게돼. 제대로 된 연구 결과가 아니었으니 곡물 생산이
증가
할 리가 없잖아.그래도 다행(?)인 건 킬리와는 달리 리센코는 살아있을 때 사실이 밝혀졌어. 스탈린이 사망하고 뒤를 이은 흐루시초프 내각이 실각하면서 힘을 잃고 소련에서 추방당했지. 아주 나~중에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
수학동아
l
201303
별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② 줄리엣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은 줄리엣의 사랑에 비례해
증가
한다.③ 로미오에 대한 줄리엣의 사랑은 로미오의 사랑에 비례해 감소한다.이제 매개변수★ t(시간)를 이용해 로미오의 감정과 로미오의 감정변화, 줄리엣의 감정과 줄리엣의 감정변화로 미분방정식을 세워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03
계속해서 또’라는 기사가 났다. 기사 제목처럼 자폐증 유전자에 대한 논문이 꾸준하게
증가
하고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 10년이면 자폐증과 관련한 모든 유전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여기에 각각의 원인에 맞는 약이 개발된다면 자폐증으로 고통을 겪는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03
대한 비유다. 브라운 박사는 “이 구슬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는 건 이미 더이상
증가
할 수 없는 ‘최대의’ 운동에너지를 갖고 있어 비탈을 내려가면서 운동에너지를 더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음의 온도 세계에만 있는 에너지의 상한선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오늘날 쓰는 ... ...
과도한 소금섭취 막는 짠맛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303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예쁜꼬마선충에 존재하는 미지의 단백질이 과도한 소금
증가
에 반응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수용체단백질 TMC-1임을 밝혀냈다. 통각신경세포막에 분포하는 TMC-1이 활성화되면 전기신호가 뇌신경에 전달되고, 이로 인한 불쾌함이 근육세포로 전달돼 회피반응으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