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체"(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꼴이 된다. 동 씨는 “실제로 사람 손을 탄 곳과 안 탄 곳에서 볼 수있는 개미 종류나 개체 수가 확실히 다르다”고 말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동 씨에게서 메시지가 도착했다. 커다란 바위를 찍은 사진과, 그 바위 한 켠의 조각을 들어내고 발견한 개미의 사진이었다. 그렇게 찾아 헤맸던 바위 틈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동떨어지기 싫어서 이웃과 가까워지려고 하며, 그 사이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개체는 이웃과 속도를 맞추고 의견을 나누면서 상호작용하려고 한다는 간단한 이론을 소개했어요. 이 이론을 토대로 하면 새들이 군집을 이뤄 날아가는 현상, 물고기가 떼를 지어 헤엄치는 현상도 설명할 수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해 다른 생태계의 가장 유명해 보이는 학자에게 도움을 구할 정도로 안타까운 개체가? 취한 과학자의 머릿속에서나 나올 법한 소리였지만, 에반스 교수의 말마따나, 모르는 일이었다. 정말로 질문자의 정체가 다른 생태계의 생물학자라면, 그의 연구는 아마도 순조롭게 풀려나갔을 것이다.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돕기 위한 배려였을 뿐, 해밀턴의 초점은 유전자가 아니라 개체에 맞춰져 있었다. “개체는 자신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가 핵심이었다. 그렇게 말해도 되지만,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자신의 복제 성공도를 최대화한다”고 말하는 게 더 명료하고 오류를 저지를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파충류, 어류 등에서만 발견된다. 모체의 유전자만 가지기 때문에 처녀생식을 하는 종은 개체가 다양하지 못해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진화적으로 고등한 생물일수록 처녀생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인간을 포함한 대다수의 포유류는 처녀생식을 하지 않지만,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는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조차도 반대였다. 연구팀은 시상식에서 “이제 더 이상 단순히 페니스를 가진 개체를 수컷이라고 말할 수는 없게 됐다”고 말했다(doi:10.1016/j.cub.2014.03.022). 인간의 피가 흡혈박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엔리코 버나드 브라질 페르남부쿠연방대 동물학과 교수팀은 영양학(nutrition)상을 받았다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표했다(doi:10.1645/16-63). 폐디스토마는 어떻게 다른 장기까지 침투했을까. 서 교수는 “개체수가 엄청나게 불어나면서 폐를 찾아가던 도중, 길을 잃고 간이나 장 같은 다른 장기로 들어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 하동 임신부 미라의 경우 가래를 뱉지 못할 만큼 상태가 심각해, 피 섞인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집단도, 개체도 아니라 유전자이다. 선택의 단위가 유전자라는 명제로부터 유전자나 개체가 정말로 이기적인 동기를 지닌다는 함의를 끌어낼 수는 없다. 잠깐, 그렇다면 “관용과 이타성을 가르치도록 노력하자. 우리는 이기적으로 태어났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은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
- [과학뉴스] 플라밍고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목격하고, 이를 촬영했습니다. 홍학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동물원을 탈출한 개체는 아니라고 합니다. 동물원의 홍학은 날개깃을 잘라 멀리 날지 못하는데, 새만금 간척지에서 발견된 홍학은 자유롭게 날 수 있었거든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가까운 큰홍학의 서식지는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하나 생깁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자라 만들어진 개체의 20%에서 암세포가 발견된 겁니다! 역분화 유전자 4개 중 1개(c-Myc)가 종양 유전자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역분화 과정 이후에 이 유전자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암을 유발한 것입니다(doi:10.1038/nature05934). 다행히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