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d라이브러리
"
기후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
변화 막는 작은 한 걸음, 탄소중립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동력이 될 수도 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지금의
기후
위기를 인식하고 작은
기후
행동을 실천하는 방식으로 탄소중립을 향한 발걸음을 내딛어 보면 어떨까요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140m의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지면 한 국가에 영향을 주지만, 1km가 넘는 경우 전 지구적인
기후
에 영향을 줄 정도의 파괴력을 갖는다.자연우주물체 감시 역시 광학장비를 주로 활용한다. 인공우주물체를 감시하는 아울넷과 더불어 외계행성을 탐색하는 데 쓰이는 광학망원경 ‘KMTNet’도 1년에 75일(3개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해수면 상승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며 작물의 수확량이 급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미
기후
변화에 따른 식량 위기가 시작됐다는 경고도 나온다. 우 교수와 같은 식물학자들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노화를 이해하는 것은 식량 위기를 해소할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생명체에 대한 근본적인 ... ...
[그래프 뉴스] 자동차 11만 대가 뿜는 이산화탄소 흡수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26만 4000t이니 갯벌은 매년 이 정도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거예요.김종성 교수는 “
기후
변화를 막는 전 세계적 노력 속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갯벌의 역할을 과학적으로 보여줬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어요. 그래프 읽어줌 (김연진 기자)각 지역의 갯벌이 1년 동안 흡수하는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경복궁 만춘전 동 쪽에 설치돼 자격루의 오차를 보정하는데 사용했고 다른 하나는
기후
를 측정하고 예측하는 오늘날의 기상청과 유사한 기관인 서운관에 설치했습니다. 나머지 두 개는 함길도와 평안도의 군사 지역에 배치해 경비 임무와 군사 경계 태세를 강화하는데 사용했습니 다. 일성정시의는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1화.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이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도구로서 수학은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무엇보다 수학 모형을 통해 다양한 상황을 테스트해볼 수 있고, 축적된 과거의 데이터를 활용해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온난화에 ... ...
[에디터노트] 9월호 MBTI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르포(60)EAPT 현실이 된
기후
위기-IPCC 보고서(26),탄소중립의 역설(34)EAPX
기후
위기 극복 기술 점검-재생에너지 기술의 현재(30)ESFT 탄소중립이 실패한다면?-미스터리 온도계의 비밀(144)ESFX 플라스틱 ‘먹방’-막내기자 과학실험(128), 꿈꾸는 환경 사업가들-특집3(98)ESPT 코로나 백신 앞당 ...
1.5℃ 온난화 20년 이내 도달...피할 길 더 좁아졌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배출을 줄이는 데 몰두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하지만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을 이루기 전에 1.5℃ 지구온난화가 먼저 실현될 가능성이 크다. 내년 초 발표될 제3실무그룹(WG3) 결과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를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서울이 상위권이긴해도 1위와 상당한 격차가 있다는 논문을 내긴 했지만, 언제든 다시
기후
악당으로 내몰릴 수 있다. 이런 주장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정확한 측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야생동물 구조작전 feat. 장마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부서지거나 깨진 부분은 없는지 충분히 살펴봤다.지난해의 폭우는 이례적이었고 혹자는
기후
위기와 연관이 있을 거라고 추측한다. 폭우가 자연 생태계의 위태로움과 맞닿아 있다고 생각하니, 자연 생태계의 위태로움에 내몰려 구조센터로 온 동물들이 다시 폭우로 새로운 위험을 맞이한 상황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