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빛이 나온다(5).클로닝, 클론*어떤 생명체의 게놈에서 특정 유전자를 찾아내고 분리해
박테리아
나 효모 같은 미생물에 옮기는 과정을 클로닝(cloning), 좀 더 정확히는 분자 클로닝이라고 한다. 이렇게 특정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미생물을 클론(clone)이라고 부른다.유권열 교수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초분자라도 어떤 사슬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암을 찾아내 약물을 전달할 수도 있고
박테리아
를 제거하는 데 쓸 수 있다는 뜻이다. 나노조립체 분야는 활용 가능성이 높은 블루오션인 셈.연구단이‘네이처 머티리얼스’와 ‘사이언스 특집기사’를 포함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횟수는 110건이 넘고 ... ...
“세균은 은나노를 싫어해~.”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관찰했지요.실험 결과, 은나노 입자와 은이온이
박테리아
의 세포벽과 세포막을 손상시켜
박테리아
를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나노 물질을 안전하게 쓰는 일에 꼭 필요하다며, 앞으로 나노 물질이 다른 동식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계속 연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답니다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알고 보면 독도는 미지의 생물자원이 숨어 있는 보물창고인 셈이다. 윤 박사팀은 독도
박테리아
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방안도 함께 연구하고 있다.이사부해산 vs 순요퇴아주 특별한 화산섬 독도“국제화산학계에서 독도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무수한 화산섬 가운데 특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억제할 수 있는 항균물질을 추출했다. 이 물질을 슈퍼
박테리아
(VRSA)에 투여했을 때
박테리아
1만 마리 당 1마리만 살아남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런 노력 덕분에 조만간 슈퍼
박테리아
를 잡는 슈퍼항생제가 나올 전망이다. 그러나 언젠가 슈퍼
박테리아
보다 더 강력한 ‘하이퍼 울트라’
박테리아
가 ... ...
하수도 물까지 마신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0.1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정도다. 이때 크기가 큰 알갱이뿐 아니라 크기가 0.1~10μm인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도 걸러진다. 2차로 걸러진 물은 구멍이 0.001μm인 역삼투압 장치를 통과한다. 이때 아주 작은 알갱이와 크기가 0.01~0.1μm인 바이러스도 걸러진다. 그 뒤 나노여과막을 지나 나노미터(1nm=10-9m) .. ...
‘병원에서 병 걸린다’는 말 진짜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상당수 아이들이 코를 통한 호흡 과정에서 항생제(메티실린)에 내성을 보이는 슈퍼
박테리아
인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 대상인 1300명 중 31명(2.4%)이 MRSA에 의한 발병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예상보다 수치가 매우 높았다. 그렇다면 ... ...
[생물학]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또 직접 스푸트니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스푸트니크가 지닌 21개의 유전자 중 3개가
박테리아
에 기생하는 다른 바이러스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사실은 스푸트니크가 다른 바이러스와 유전정보를 교환했다는 뜻으로 바이러스끼리 감염이 있었다는 증거다 ... ...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그런데 문제는 내성유전자가 다른
박테리아
에게 전달돼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
박테리아
가 탄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 가진 내성유전자 mecA는 1960년대 초반 처음 발견된 뒤 20년도 안 걸려서 전 세계로 퍼졌다. 그리고 1996년 미국과 일본에서는 지금까지 ... ...
[유전학]쌍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겨드랑이에 각각 면 패드를 붙이게 한 뒤 1시간씩 운동을 시켰다. 그리고 패드를 모아
박테리아
를 증식시킨 뒤 여기서 체취의 원인인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을 분리해 종류와 양을 분석했다.그 결과 일란성 쌍둥이들은 땀에서 생긴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의 종류와 양이 이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