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선
방사
복사선
d라이브러리
"
방사능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불문가지의 사실이다. 게다가 다국적군의 전술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방사능
누출의 위험은 계속 도사리고 있다. 체르노빌(1 백만 ㎾급 발전소)사고 이후 그 영향이 멀리 떨어진 스웨덴과 일본에서도 발견됐던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핵무기가 사용된다면 주변 중동국가는 물론 아시아도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행성의 중력에 끌려 행성을 때리고 이로 인해 행성의 표면은 온도가 올라간다. 내부도
방사능
붕괴로 온도가 올라가서 물질을 녹인다. 그렇게 되면 밀도가 높은 니켈과 철 등은 중심으로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규산염 등이 위로 부상하여 지각 부근에서 냉각된다. 이것이 지구형 행성의 행성과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퍼져있다. 이것은 인간의 독단에 불과하다. 만약 핵전쟁이 일어난다면 인류는 멸망하고
방사능
에 특히 강한 전갈 종류들만 살아남아 수천년동안 전갈류가 지구를 지배하는 시대가 올는지도 모른다. 지구의 역사를 살펴보건대 이는 전혀 불가능하거나 특출한 사건이 아니다.위베르 리브는 자연과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수 있는 주요 성분들은 마련된 셈이다. 오늘날의 지구와는 달리 원시지구에 풍부하였던
방사능
, 태양의 강력한 자외선, 분출하는 활화산에서 비롯되는 열, 천지를 진동하는 천둥번개의 전기방전 등이 여러가지 유기물분자를 합성하는 에너지를 공급해주었을 것이다.또한 오파린에 의하면 ... ...
뉴멕시코사막에 핵폐기물 영구처분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들 폐기물은 각 원전에서 드럼통에 넣어져 WIPP로 운반된다. 그런데 이 드럼통속에는
방사능
물질뿐 아니라 유해한 화학폐기물들도 섞여 한꺼번에 포장된다.1989년말 제임스 와킨스 에너지부 장관은 WIPP의 건설이 가장 당면한 과제라고 밝힌 바 있다. EPA의 수리(水理)학자 리드 로스니크는 "EPA의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원자력발전소에서의 가장 중요한 안전문제가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방사능
의 방출은 우선 1차 방호벽을 형성하고 있는 핵연료 피복재의 파손이 발생했다는 전제하에 2차 또는 3차 방호벽에도 문제가 있을 경우 외부로 방사성 물질 누설이 가능해진다. 기술적 관점에서의 안전문제는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60년대에 폐쇄된 이곳에 독일은 중·저준위폐기물을 70년대부터 매립하고 있다. 처음부터
방사능
폐기시설로 고려된 곳이 아니기 때문에 활성이 높은 폐기물은 처분하지 않고 있다. 현재는 지하 1㎞에 위치한 콘라드 폐광과 콜레벤 폐광을 개발중에 있다.지하심층처분장은 암염 경암층 등 지하 수백m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점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갈륨비소는 또한
방사능
에 대해 실리콘보다 강하다. 따라서
방사능
과 접촉 가능성이 큰 우주개발분야에 그 효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이와 함께 갈륨비소는 빛(光)을 이용하는 반도체 제품에 실리콘보다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갈륨비소반도체는 이제까지 ... ...
미국과 영국이 84%나 차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40년동안 바다에 버려진
방사능
폐기물의 양이 지난달 열린 런던폐기물회의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바다속에 핵폐기물을 가장 많이 버린 나라는 영국과 미국.두 나라가 태평양 대서양 해저에 버린 폐기물의 양은 전체의 84%나 된다.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된 이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분해효소에 의해서는 어느 정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또한
방사능
치료와 같이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질병에 자주 사용하는 치료법에 대해 둔감하다. 다시 말해 대단히 높은 내성(耐性)을 보이고 있다.초기의 많은 연구는 양의 스크래피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병원성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