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형"(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실험도 하고요(역시 대륙의 스케일!), 건조한 토양에 적합한 유전자변형 농작물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 황토고원 현장에서 다양한 경사지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연구도 이뤄집니다.한국과 공동 연구도 합니다.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 ...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찾아라그렇다면 사진이나 동영상도 찾을 수 있을까? 김 대표는 크기가 달라졌거나 변형된 이미지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유사한 이미지를 찾는 기술에는 수학이 쓰인다. 세계 최대 크롤링 사이트인 구글의 경우 ‘고유벡터의 중심성’을 이용한 알고리즘인, ‘비주얼랭크’를 이용한다.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든 티라민도 무시할 수 없다. 티라민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단위물질인 아미노산이 변형된 것 중 하나인데,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만들 때 꼭 필요하다. 그래서 티라민이 함유된 식품이나 술을 마시면 도파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증가하고 교감신경계가 활성화해 혈압이 급작스럽게 높아진다. ...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19세기 터너가 사용했던 물감을 똑같이 만들고 전자현미경과 분광기법으로 물 감의 형태, 변형, 화학적 특징 등을 조사했지요.그 결과, 비결은 납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납에서 만들어진 활성산소가 물감 속 기름과 만나 빠르게 건조된 거예요. 또 납은 색을 덧칠할 때 물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질병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대표적인 질병은 암이지요. 암세포는 우리 몸속의 세포가 변형된 세포로, 일반적인 세포와 달리 끊임없이 분열하면서도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죽지 않아요. 아직 완치할 수 있는 약이나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서 많은 과학자들이 암을 연구하고 있어요. 몸속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최초의 달걀이 만들어진 뒤, 닭이 부화했다고 볼 수 있어요. 또는 닭의 조상에게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 최초의 닭이 만들어진 뒤, 달걀을 낳았다고 볼수도 있지요. 하지만 진화는 오랫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 역시 논란이 많답니다.닭 속에 백신 있다?올 겨울 독감이 크게 유행하고 ...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바닐라 향이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DOI:10.1038/ncomms5037).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변형 효모를 이용해 바닐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물유전학자들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바닐린을 더 많이 만드는 새로운 바닐라 난초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미생물이 신진대사하는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준비했다. 이 광중합체는 빛을 주면 간섭 무늬의 패턴에 따라 내부의 분자구조가 변형돼 굴절률이 변한다. 이 광중합체는 평소에는 투명한데, ‘씨스루’란 이름도 그래서 붙었다. 연구팀은 광중합체에 간섭패턴을 쪼여 잠자리 눈처럼 2차원으로 배열된 렌즈 기능을 하도록 설계했다. 이때 단위면적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쉔 교수는 도형의 각을 유지하며 모양을 변형했을 때 도형의 굽은 정도를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야마베 문제’를 해결해 미분기하학 분야의 저명한 수학자로 발돋움했습니다.페퍼먼 교수는 수학계의 대표적인 천재로 통합니다. 만 22살에 정교수가 돼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똑같이 코일 두 개와 자기장을 이용하지만 공명 주파수를 변형해 더 먼 거리에서도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1m 거리에서 90%, 2m 거리에서도 40%의 충전 효율을 낼 수 있다는 결과에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했습니다.그런데 2015년 임춘택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