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좌
성위
성운
포치
d라이브러리
"
별자리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
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남두육성을 비롯한 여러
별자리
가 그려져 있다. 고구려인이 독자적으로 밤하늘을 보고
별자리
를 관측했음을 알 수 있다.이번에 확인된 청동기시대 돌판의 별그림은 이런 고구려의 천문지식에 대한 뿌리를 제공한다.또한 우리나라의 천문지식이 중국천문학의 전래에 의해서만 시작된 것이 아니라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밝은 천체는 별이 아니더라도 맨눈으로 어렴풋하게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밤하늘의
별자리
에 익숙한 베테랑이라면 이따금씩 지구 가까이 찾아오는 또다른 천체인 혜성을 발견할 수도 있다.행성모양을 닮은 행성상성운초창기 비교적 작은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하던 천문학자들은 밤하늘에서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머무는 황도의 마지막
별자리
로 물러난 셈이다.기원전 2세기에는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별자리
와 점성가들이 말하는 황도12궁이 서로 일치했다.하지만 점성술사들이 세차운동을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춘분점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져왔기 때문에,지금은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황도 12궁이 ... ...
보름달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오리온자리 등은 서양인들의 상상력의 발로다. 물론 우리에게 잊혀져 있지만 우리의
별자리
도 있었다.이렇게 우리의 상상력을 동원할 수 있는 천체가 또 있다. 바로 보름달이다. 재미있게도 달은 지구를 한바퀴 도는 동시에 자체적으로 한바퀴 돌기 때문에 매달 보는 보름달의 얼굴은 같은 모양을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은하수 속에서 2-3등급의 별들이 사람 인(人)자 모양의 선으로 이어져있는
별자리
다. 이
별자리
에서 두드러지는 별은 알파별 ‘미르파크’와 베타별 ‘알골’이다. 미르파크는 밝기가 1.8등급이고 거리가 6백20광년으로 태양보다 6천배나 밝은 빛을 쏟아내고 있다. 악마의 머리라는 뜻의 알골은 2.1-3. ... ...
야광
별자리
판 만들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천상의 하늘을 나만의 공간에 옮겨놓으면 얼마나 기분이 좋을까.잠자기 전 바라볼 수 있는 야광별을 만들어보자.왜그럴까?축광액은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받은 빛을 축적해 놓았다가 빛을 발한다. 일반적으로 ‘형광’ ‘야광’으로 혼용해서 사용되는 말들이 어떻게 다른지 살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수는 없는 일이다. 또 섣불리 이동했다가는 구조대가 찾아내기 훨씬 어려워진다. 밤에
별자리
를 보고 이동할 방향을 정하는 것도 금물이다. 이동하지 말고 체력 소모를 최대한 줄일 것! 바다 표류에서 지켜야 할 제1수칙이다.이때 구명정이 바다 위에 놓이는 방향에 대해 신경써야 한다. 바다가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별똥별의 흔적을 관할할 때도 쓸모 있다.
별자리
의 전체크기를 재거나 길잡이별로
별자리
를 찾아갈 때도 도움이 된다.천문학역사의 물줄기를 돌리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던8´의 오차는 실제하늘에서 얼마나 작은 각거리일까? 북두칠성의 국자손잡이에서 두번째 별 미자르를 보면 그 차이를 느껴볼 수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페르세우스 자리를 볼 수 있다.먼저 알골을 찾은 후 그와 비슷한 밝기를 가진 별을 주변
별자리
에서 골라 놓고 이틀 후 다시 비교해 보면 알골의 밝기가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간단히 별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여러날 반복해 같은 조건으로 찍어보면 밝기 변화를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각거리(각도)로 나타낸다. 이는 마치 임의의 기준점으로부터 10도 선분 안에 두 개의
별자리
가 4.0과 8.0위치에 있다면, 기준점 0도부터 각도가 4.5도와 8.3도의 별은 각각 ‘4도 별에서 0.5도’ ‘8도 별에서 0.3도 떨어져 있다’는 식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다. 예를 들면 6월 15일 밤 10시에 혜성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