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오토마타로 배운다! 행성의 겉
보기
운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는 손잡이를 돌리면 행성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이 오토마타로 행성의 겉
보기
운동을 확인할 수 있는 비결은 ‘기어’ 덕분이에요. 기어는 톱니가 있는 원판이에요. 기어가 움직이면 톱니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행성과 지구가 움직여요. 이번 오토마타는 기어에 달린 톱니의 수를 서로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긴 시간 관찰할 수 있지요. 원래 수성은 태양과 매우 가까이에서 공전해 맨눈으로는 잘
보기
어려운 행성이에요. 태양 빛이 너무 밝기 때문이지요.동방 최대이각일 때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서방 최대이각일 때는 새벽 동쪽 하늘에서 수성을 볼 수 있답니다. 별빛미션왕으로 선정되면 ... ...
고(故) 한석홍 사진작가가 촬영한 석굴암 본존불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고(故) 한석홍 사진작가가 2000년 촬영한 석굴암 본존불 관련 인터뷰
보기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 대 이은 문화재 사진작가 고(故) 한석홍&한정엽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치아, 일부 DNA 등 당시까지 밝혀진 정보만을 활용해 데니소바인의 진짜 모습이라고
보기
엔 아직 제약이 많다”라며 “온전한 두개골 화석이나 많은 DNA가 발견돼야 데니소바인의 진짜 얼굴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현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에서는 데니소바인 화석 찾기 ... ...
[수학기자의 책장]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도구, 단위!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꿀벌의 집은 왜 정육각형 모양일까? 음악과 수학이 무슨 관계가 있다는 거지? 시험을
보기
위해 공부하는 수학은 지루하지만 우리 주변의 수학을 아는 것은 재미있다! ‘개념이 술술! 이해가 쏙쏙! 수학의 구조’는 초심자도, 다시 배우는 사람도 쉽게 즐기며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중간 중간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입자나 핵 등 미시세계의 물리를 연구하는 기관으로는 첫 번째로 언급되는 연구소다.겉
보기
에는 몇 개의 큰 건물이 모여있는 일반적인 연구소 같지만, 100여m 지하에는 거대한 터널이 자리하고 있다. CERN 아래에서 시작된 터널은 스위스 국경을 넘어 프랑스 남동부 오베르뉴론알프 지역으로 뻗는다. ... ...
[기획] 현대로 이어지는 수학 명가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많았어요. 어릴 때는 그 책들을 보곤 했었죠. 물론 어려워서 이해는 못 하고 정말
보기
만 했어요. 볼펜이나 색연필로 책 속 그림들을 따라 그리면서 책을 망가뜨리기도 했고요. 그땐 몰랐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저도 모르게 수학을 가까이했던 이런 경험들이 수학을 공부할 때 간접적으로 도움이 됐던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버스가 멈췄다. 버스 문을 열기 전에 루크가 모두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점검했다. 땅은
보기
보다 단단했다. 솜털처럼 솟아 있는 풀이 이새의 발에 밀려 부드럽게 물결쳤다. “이새야, 이거 봐라. 그림 속에 들어온 것 같지 않니?”엄마가 들뜬 목소리로 말했다.그렇지 않아도 무채색의 음영으로만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컴퓨터는 가까이 하지도 않는 분이셨지만 2002년 한일 월드컵 때는 어릴 때 꼴도
보기
싫던 일본이랑 월드컵도 공동 개최하는데 뭔가 해야겠다 결심을 하셨다고. 엄마 말로는 2000년 밀레니엄 새천년이 되면 우리 구주 내려오셔서 천년왕국 만드시리라 믿었는데 2002년이 되도록 천년왕국은 코빼기도 안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교수가 워덤칼리지의 교수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펜로즈 타일링의 가치는 단순히
보기
좋고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었다는 예술성에 그치지 않습니다. 반복되는 규칙 없이도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접 보여준 펜로즈 타일링 덕분에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엉터리 실험으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