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수학자] 위대한 업적, 그리고 위대한 선생님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발표했습니다. 1970년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했죠.대수기하학에서 특이점이란 좌표명면에 그린 함수의 그래프에서 선이 뾰족하거나 선끼리 겹칠 때 생기는 매끄럽지 않은 점을 말합니다. 하지만 특이점 해소 정리를 이용하면 공간의 차원을 한 단계 ... ...
- [진실 혹은 거짓] 우리가 수학만 좋아한다고? 수학자는 평화를 사랑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어린 시절을 보냈어. 그 기억 때문인지 평화주의자가 됐지. 1966년 여름, 그는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됐지만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하지 않아. 러시아 정부가 정치적 반대 세력을 감옥에 가두고 동유럽을 침공한 것에 항의한 거야. 필즈상은 40세 미만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 ...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켜진 화면에 이런 문구가 떠 있다면? ‘아니오’를 누르는 것이 현명하다. 누가 봐도 수상하니까! 하지만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어김없이 ‘예’를 선택한다. 그래야 사건이 시작되니까. 책 은 이렇게 시작된다. 이 모험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월 말 출간 예정인 책 을 미리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 있죠. 매끄러운 4차원 다양체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밝힌 공로로 1986년 필즈상을 수상한 사이먼 도널드슨 역시 “기하학적 연구의 주요 돌파구이며 다양한 관련 연구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조금 어렵긴 하지만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위상수학의 세계! 여러분이 수학자가 돼 아직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뉴런의 수상돌기가 화학 신호를 받으면 축삭돌기로 전기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것이 다시 화학 신호 형태로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달되면서 몸에 반응이 일어납니다. 인공 뉴런도 여러 개의 입력 신호 xi를 받아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그 보잘것없는 노래 솜씨로 이등상인 은상을 받았던 것은 지금 생각해도 신기하다. 굳이 수상 이유를 유추해보면, 아마 연세 지긋하신 심사위원들이 당시 젊은층에 유행하던 잔잔한 발라드 노래보다 신나게 쏟아붓는 클라이막스가 있는 내 노래에 젊은이의 패기를 느껴서 많은 점수를 주신 것이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대규모로 건설됐을 때에도 환경에 영향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라며 “이처럼 큰 규모의 수상태양광 단지가 바다 근처에 건설되는 건 처음인데, 단 1, 2년이라도 그보단 작은 규모로 먼저 설치해 환경영향평가를 해보고 규모를 키워나가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부정행위로 간주할 정도로 데이터 위·변조에 엄격하다.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 연구실에서 2017년 발표한 논문이 데이터 변조 의혹을 받고, 교토대 연구공정조사위원회에 의해 사실로 드러난 바 있다. 이 논문은 2018년 철회됐다. 부당한 저자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발하게 설명해 세계적 과학상인 ‘브레이크스루상’의 2020년 주니어 챌린지 부문을 수상했는데요. 우승자의 영상, 같이 볼까요. ▶ 게임 속 치트키아무런 인트로 영상도, 자막도 없이 대뜸 체가예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자신의 방에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동생이 게임을 하는 모습을 봤는데,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각각 고유한 화학적 라벨(표시)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98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저 스페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제시한 ‘화학친화력 가설’입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가 특정 화학적 라벨과 친화력을 가진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하고, 코와 귀 혹은 등과 배를 축으로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