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d라이브러리
"
실마리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칩을 만들면 기능을 알지 못하는 유전자에 대해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
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가장 기대가 되는 DNA칩의 응용분야는 유전병 진단이다. DNA칩으로 수많은 유전자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유전자 변형에 의해 생기는 유전병을 진단하는데 쓰일 수 ... ...
마늘은 감기 특효약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통계적으로 성인은 1년에 2-4번, 어린이는 6-10번 걸린다고 알려진 감기. 한 사람이 일생 동안 감기를 앓으면서 소모하는 시간은 평균 2-3년이라고 한다. 이렇게 예 ... 감기 치료법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면서 감기의 예방과 완치의
실마리
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대해 준설을 겸한 발굴조사과정에서 유구(옛날 토목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
가 되는 잔존물) 가 발견됐다. 뿐만 아니라 발굴조사의 과정에서 적지 않은 수량의 건축부재들이 발굴됐고, 발굴이 끝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1980년 2동의 건축물과 연못에 대한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연구는 발 냄새의 원인이 되는 화합물을 밝혀냄으로써 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해결의
실마리
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한 연구다.어디에 쓰는 연구인고?세번째 유형은 ‘이런 연구는 해서 뭐하나’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드는 ‘엉뚱한 상상력’형이다. 영국 브리스톨대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거나 적어도 추측이 가능하고, 나아가 생물체의 어디에서 그 기능을 발휘할지에 대한
실마리
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많은 생명공학자가 단백질 구조연구에 매달리는 이유다.부작용 없는 약물 디자인 가능생명현상을 이해하고 단백질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려는 연구는 최근 들어 단백질체학 ... ...
3. 복잡성 속 숨은 질서 찾는 확률과 통계 우주선 예비부품 몇개가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들 확률이 얼마인지 예측해보라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어디서부터 이 문제에 대한
실마리
를 찾을 수 있을까. 단순히 우리나라의 축구성적 세계순위나 역대 게임전적을 보면 알 수 있을까. 아니면 예선전 대진표에서 찾을 수 있을까. 아마 이들 모두를 참고해도 부족할 것이다.매우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있다.이제 해저열수구는 단순한 과학적 호기심을 넘어 인류의 자원과 환경문제 해결에
실마리
를 제공할 장소로서 그리고 이러한 생물자원의 확보를 위한 국가간 첨단과학기술의 경합장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심해잠수정을 보유한 미국, 일본, 프랑스뿐 아니라 선진 각국은 앞선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 있다고 기대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결과는 모든 질병의 유전적 기초를 밝히는데 중요한
실마리
가 될 것이다. 소위 말하는 개인별 맞춤의약의 현실화는 바로 이 SNP 연구로부터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제약회사들은 SNP를 이용해 신약의 특이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성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도 있다. 따라서 SNP 연구는 유전자 관련 질병을 이해하고 약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실마리
를 제공한다.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게놈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특이한 SNP를 찾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질병이 SNP로 인한 효소 활성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 그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숙제인데, 지난 몇년 사이 많은 사실들이 밝혀졌다.가장 중요한 유전적인 요인들이 그
실마리
를 제공했다. 1877년 베스트팔에 의해 기면 발작과 탈력 발작이 직계 가족들에게 발병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 학계에 보고된 이래, 현재는 기면 발작을 ‘가족병’으로 생각하고 있다. 크라베와 매그누슨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