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예
명예
명성
광명
광휘
빛
은혜
d라이브러리
"
영광
"(으)로 총 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계면(界面)공학, 왜 각광받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볼 수 있다. 지난 동계 올림픽에서 우리나라 선수가 스케이팅쇼트트랙 경기에서
영광
의 금메달을 땄을 때의 기쁨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그런데 스케이팅 선수들이 그렇게 날렵하게 빙판 위를 달릴 수 있는 것은 바로 몸의 하중으로 인한 압력으로 얼음이 녹아, 얼음과 스케이트 날 사이에 얇은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정규과정을 마쳤다. 이 정규과정 졸업자중 94명이 서울대에 지원하고 그중 74명이 합격의
영광
을 안았다. 입시계에서는 이미 예상된 일이었으나 신흥명문고의 화려한 등장은 그 파고가 예상보다 훨씬 높아 서울대 입시의 판도를 뒤흔들어 놓았다. 이렇게 정규과정을 택하는 학생수는 점점 늘고 있는 ... ...
'보다 크게 보다 작게'가 만드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골프공에 붙이는 일은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당선의
영광
을 차지했다.진공청소기도 기존 제품의 용도를 바꾼 발명품이다. 발명가는 미국의 피셔.선천적으로 몸이 약했던 피셔의 소원은 남들처럼 건강하게 사는 것이었다. 지병인 천식때문에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참가하게 되었다. 국제경기나 올림픽대회에서의 승리는 선수개인 뿐 아니라 국가에도
영광
이 따르며 이것을 국력의 평가척도로까지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서 운동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와 이에 부속되는 훈련량의 정도는 상상을 초월하는 경지에까지 와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 ...
올해의 과학기술상 수상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정사장은 포항 및 광양제철소를 가장 적은 돈으로 빠른 시일내에 건설한 공로로 수상의
영광
을 차지했다. 기능상 수상자 김씨의 공로는 비철금속광물의 무기성분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한 것. 박교수는 21년간 교양 및 기초 과학 도서 39종을 저술 번역하고 교육 강연 등을 통해 ... ...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마구 사용해 부패를 방지한 생선 어묵 냉동어육, 공업용 색소로 '치장한'(염색한) 가짜
영광
굴비 등도 소비자들을 바짝 긴장시켰다. 또 질소 비료의 성분물질을 팽창제(膨脹劑)로 사용하고, 유화제(乳化劑)와 건조방지제 및 방부제를 첨가한 팥빵과 크림(cream)빵도 만들어졌다. 서울시내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한다. 그런가 하면 바이런이나 괴테 등 문학가들에게 사랑을 받은 카페이기도 하다.옛
영광
과 현재의 수해와 공해의 어려움을 동시에 안고 있는 베네치아가 영원히 아름다운 물의 도시로 보존돼 세계인의 사랑을 계속 받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일본유일의 천문관련 테마공원(theme park) 스페이스월드(Space World)가 바로 그것. 과거의
영광
을 상징하는 거대한 제철소 굴뚝 사이로 보이는 스페이스 월드의 은빛 돔(dome)들은 이곳사람들의 미래지향을 읽을 수 있게 한다.테마공원의 일관성 돋보여스페이스월드는 말하자면 천문학과 우주산업을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시행착오를 거친 뒤 만들어낸 땅콩기름(90%)과 물 비누(10%)의 혼합비누가 마침내 류군에게
영광
을 가져다 준 것이다.류군도 이 발명품을 금년도 세계청소년발명품전시회에 출품, 당당히 우수상을 수상했다.김군과 류군같은 학생발명가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고 있다. 지난 5월 6일부터 25일까지 열린 9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졌던 가장 큰 우려는 "KAIST가 대덕으로 옮겨가면 '홍릉시대의
영광
'을 아주 잃는게 아닐까'로 집약될 수 있다.1971년 2월16일 창경원 옆 지금의 서울과학관 4층의 조그만 사무실에서 채 열명도 안되는 젊은 과학자들이 현재 KAIST의 전신(前身)인 한국과학원(KAIS)을 창설한 이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