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d라이브러리
"
외계
"(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때 나오는 에너지나 분출하는 물질의 양은 실로 엄청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산폭발은
외계
에서 대규모 운석이 충돌하는 현상과 비교되기도 한다. 운석 충돌이나 화산 폭발 모두 예측하기 쉽지 않고, 예측한다고 해도 막기 힘들다. 그나마 다행은 ‘멸종’을 초래할 만큼의 대규모 화산(슈퍼화산)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혹시 우리도 시간이 지나면 머리만 커지는 건 아닐까요. 100만 년쯤 뒤엔 영화 속
외계
인처럼 되는 건 아닐까 모르겠습니다.고기 먹은 인류는 얼굴이 날씬해인류의 큰 머리는 공짜로 생기지 않습니다. 많은 에너지를 확보해야 하고, 이 에너지는 동물성 음식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맹수가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눈은 땅과 강렬한 대조를 이뤘고, 하얀 가스가 땅속에서 스멀스멀 기어 올라왔다. 어느
외계
행성에 와 있다고 생각해도 될 정도였다. 산 아래를 내려다보니 주변에 작은 산봉우리처럼 솟아 있는 다른 분화구 몇몇이 한눈에 들어왔다.페코라 씨가 안내해 준 무인관측소는 케이블카에서 내리자마자 ... ...
들리는가, 용암이 울부짖는 소리가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제주도 올레길을 걸으며 보았던 것과 닮은 모습이다. 불과 몇십 분 사이에 낯설었던
외계
의 풍경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박자를 맞추듯 이 하늘에 스멀스멀 구름이 올라온다. 곧 보슬비가 내리나 싶더니 다시 파란 하늘이 고개를 내밀었다. 지형만큼이나 날씨도 변화무쌍했다.자동차는 하와이 ... ...
러시아에 쏟아진 ‘운석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가깝다.50만 톤 에너지가 지구로 추락!“뭐라고?
외계
인이 아니라 운석이라고? 아깝다~!
외계
인 특종을 잡을 기회였는데….”그러면서 안도의 한숨을 쉬는 이유는 뭘까? 하여간 섭섭박사는 러시아에 떨어진 운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러시아 우랄산맥 지역을 초토화시킨 이번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생각 없이 컴퓨터 자판을 마음대로 두들기면 어떤 글이 써질까? 대부분 읽을 수조차 없는
외계
어가 써질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작업을 한두 시간 정도 반복하면 아는 단어 한두 개 정도는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18~19세기 유럽 사람들도 무한히 많은 시간 동안 타자기를 무작위로 치면 읽을 수 있는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영화 스타트렉에서 우주 전함을 탄 등장인물들은 컴퓨터에 대고 “가장 최근에 접촉한
외계
행성의 대기 밀도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1940년대 뉴욕의 일상복 디자인은?”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구글 검색은 이런 질문에 답을 제시할 수 있을까. 스타트렉에서 주인공들이 컴퓨터와 대화하는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러시아에 운석우가 떨어지고 16시간 뒤인 2월 16일. 농구장의 2배에 해당하는 45m 크기의 소행성 ‘2012 DA14’가 지구 표면에서 불과 2만 7700km ...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한 나라의 힘으론 불가능하지만 세계 각국이 힘을 합친다면
외계
천체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평화조약이 갓 해제된 태양계 세 번째 행성 지구를 공격하기 위해 대기권 아래로 내려온
외계
우주선 서른일곱 대가, 일제히 첫 번째 포격을 개시하던 순간이었다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 반응은 인간 몸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비해 100만 배나 빠르다. 그래서 이곳에 사는
외계
생명체는 인간보다 100만 배나 빠르게 흐르는 시간 속에서 살아가며 순식간에 문명을 발달시킨다.이들의 질량은 인간과 비슷하지만, 너무 강한 중력 때문에 두께 0.5mm에 지름 5mm인 납작한 아메바 같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