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필요도 없다. 오히려 우리의 천적이 살지 못할 만큼 아주 좁은 물웅덩이가 생존에는 더
유리
하다.다만 딱 하나, 물이 흐르면 안 된다. 수서곤충 체면에 민망하긴 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모기 유충들은 수영을 잘 못한다. 물이 흐르면 아무 저항도 못한 채 그냥 물이 흘러가는 대로 떠내려 갈 수밖에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무엇인지 궁금해 하고 그 사물의 이름을 알려고 합니다. 이미지 데이터 많을수록
유리
어쩌면 인류는 살아남기 위해서 또는 더 잘 살기 위해서 사물을 빠르게 구분하도록 진화한 게 아닐까요. 사냥을 나갔을 때 저기 멀리서 달려오는 것이 호랑이인지 토끼인지 빠르게 알아본 사람은 그렇지 못한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증거가 발견된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용의자의 옷에서 깨진
유리
창에서 떨어져 나온
유리
파편이 발견됐다면 용의자를 범인으로 특정할 수 있다. 현장에서 발견된 그라인더와 변사자가 착용한 넥워머에 대한 감정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했다. 그 결과 그라인더의 디스크 날에서 변사자의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이럴 때는 아이템을 여러 개 장착해도 소용없으니 다른 효과를 가진 아이템을 끼는 게
유리
하죠.중첩이 일어난다면 계산 방식을 따질 차례입니다. 복잡할 것 같다고요? 은행에서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인 ‘단리’와 ‘복리’ 두 가지만 알면 됩니다! ▲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수 있다.이때 상어로부터 공격당할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물이 들어오지 않는 투명한
유리
관 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암 파크에서 활동하는 상어들은 샌드타이거상어, 기타상어, 너스상어 등으로 몸집은 작지 않지만 식인 상어와는 거리가 먼 종들이다. 전 세계적으로 상어는 400여 ... ...
아폴로 1호, 비운의 우주비행사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해치는 7초 안에 열리도록 설계가 변경됐다. 불에 타기 쉬운 나일론 소재의 우주복도
유리
섬유재로 바뀌었다. ▲1967년 1월 화재 사고로 불타버린 아폴로 1호 사령선(아래)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합 형태로 바꿀 수 있음을 밝힌 겁니다.하지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음이 아닌 모든
유리
함수를 언제나 제곱의 합의 꼴로 바꿀 수 있다는 게 자율주행차가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과 무슨 상관인 걸까요? 최적값 찾아 자율주행차의 판단 돕는다쉽게 말하면 자율주행차가 운전할 때 고려할 게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단순한 신체 구조를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때 확실히
유리
하다. 물은 극성을 띠기 때문에 물질을 잘 용해시킨다. 게다가 열용량(물질의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드는 열량)이 커 행성 전체의 기후를 일정하게 만드는 역할도 한다. 외계행성이 액체 상태의 물을 갖기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렸고, 1961년 4월 12일에는 옛 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1965년에는 옛 소련 우주비행사가 최초로 우주유영을 해냈다. 1966년에는 최초로 무인 우주탐사선인 루나 9호를 달에 연착륙시켰다. 이런 ... ...
[따끈따끈한 수학] 실현 가능한 수를 찾아라!
유리
수 지수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제약 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구하고자 하는 대상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경우를 따지는 수학 분야를 ‘극단조합론’이라고 부릅니다. 오늘 소개할 연구는 극단조합론의 시초가 된 문제에서 출발합니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여러 수학자 그룹에서 결과를 내고 있는데요, 그중에는 한국인 수학자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