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물
사적
유해
유골
잔해
폐허
고적
d라이브러리
"
유적
"(으)로 총 44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하나도 닮은 데가 없다. 이런 것들은 신라의
유적
에서 뿐만 아니라 백제와 고구려의
유적
에서도 발견됐다.이 '한국형, 유리그릇들 중에는 우리나라 토기의 기형(器形)과 무척 닮은 것이 많다. 추측컨대 토기를 본떠서 왕실에서 쓰는 유리그릇을 만들었을 것도로 보인다. 불교신앙에서 최고의 ... ...
스페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카톨릭왕들에 의해 재정복될 때까지 스페인을 지배한 아랍인들이 남긴 최대·최고의 문화
유적
이 바로 그 유명한 그라나다의 알암브라(Alhambra)궁전이다. 이외에도 스페인 각지에는 옛성과 성당, 그리고 궁전들이 고색창연한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17,18세기 스페인의 황금시대에 세워진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추론(推論)이 갈라질 여지가 남아 있다. 선배 고고학자인 나카야마(中山平次郞)는 스구
유적
의 유물에 대한 논문(1928년)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는 곡옥은 일본제품이라 할지라도 그 원료인 유리에 대해서는 양론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테면 일본제품으로 보는 설과 중국제품으로 보는 ... ...
두 사람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보기들이 프랑스 보르도 동쪽 약 1백20km에 있는 크로마뇽이라는 동굴에서 발견됐다. 이런
유적
은 적어도 3만년은 된 것이다.크로마뇽인들의 뼈에 살을 붙여 그릴때면 늘 수염을 깨끗이 깎고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지만) 고상하고 어쩐지 슬픈 표정을 한 사람으로 보인다. 그들은 물론 백인으로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하면 두께가 9mm 정도의 철판도 나왔다.이와 비슷한 철정은 고신라와 가야 및 백제의
유적
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아무튼 그 당시 한국에서는 많은 양의 철정을 일본에 수출했던 것 같다. 일본의 사료에는 백제가 일본에 철을 계속해서 보내 주겠다고 약속을 한 기록이 남아 있다.철의 기술사는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중심지다.인더스문명은 모헨조다로 하라파 두 도시외에도 찬후다로 등 1백여개의 도시
유적
을 인더스강 유역을 중심으로 남기고 있다. 그 당시 인더스강 상류인 펀잡지방의 수도는 하라파였고, 하류지역의 수도는 모헨조다로가 아니었나 생각되고 있다.이 지역은 인더스문명이 발달했을 당시에는 ... ...
무쇠도끼와 철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철기가 중국철기의 영향을 직접 받았다고 생각되는 뚜렷한 증거가 없다. 그밖에 다른
유적
에서도 한국의 철의 기술이 중국의 철기기술에서 비롯되었다는 근거를 찾기 어렵다. 또한 고도로 발달된 청동기 기술에서 철의 기술로 발전하는 과정은 다른 지역에서도 있었던 일이다.기술사적(技術史的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말의 역사는 신석기시대 이후부터 시작된다. 금석병용기(金石倂用期)에 와서야 몽고말의
유적
이 발견되지만 그때까지도 우리나라 재래종은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다.그뒤 위만(衛滿)이 왕검성(王儉城)에 도읍하여 세운 위만조선(현재 그 존재 자체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때 한나라의 무제(武帝 ... ...
청동기와 거푸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청동창 청동끌 화살촉 낚시 단추 등 아주 다양한 것들이다.부여(扶余)의 송국리(松菊里)
유적
에서도 청동도끼의 거푸집이 출토되었다. 그런데 그 지방은 B.C.8~9세기 경 유물로 알려진 비파형 청동검이 나온 곳이고, 확실한 주거지(住居地)였다는 점에서 우리의 주목을 끈다. 청동기인들이 그 시기에 ... ...
인류 최대의 문화유산 앙코르와트사원을 구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했다.수세대에 걸쳐 복원하고 연구하는 동안 고고학자들은 이 사원이 세계최대의 문화
유적
임을 확신하게 되었다.캄보디아에서 프랑스가 철퇴한 뒤에도 '베르나르-필립 그로슬리에'라는 사람이 사원을 지키면서 72년까지 수리·복원작업을 계속했다. 그러다가 악명높은 '크메르 루지'정권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