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15~20%인 태양전지 효율에는 못 미치지만 수명이 길고 모래폭풍 등 극한 환경에서
작동
할 수 있어 장기 화성 탐사에 적합하다. 퍼시비어런스에는 카메라가 총 23대 장착돼있다. 카메라 17대로 화성의 지형과 토양의 성분을 분석했던 큐리오시티에 비해 이 역시 업그레이드된 점이다. 퍼시비어런스의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않아 눈앞에서 친구를 잃고 만다. 아카네가 쇼고를 잡지 못했던 건 도미네이터가
작동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쇼고가 친구를 살해하려는 마음을 먹는다면 범죄 계수가 높아지는 게 당연한데, 어째서인지 그러지 않았던 겁니다. 아카네는 자신의 눈앞에서 친구가 살해당했다는 데 큰 충격을 받지만,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라인 따라 요리조리! 내가 만드는 로봇, 라인 트레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빛을 반사할 때 보이지요. 라인 트레이서는 흰색과 검정색의 빛 반사도 차이를 이용해
작동
해요. 라인 트레이서 몸체에 붙어있는 적외선 센서가 이 차이를 감지하거든요. 적외선 빛을 쏘는 ‘적외선 송출 LED’와 물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포토 트랜지스터’가 그 역할을 하지요. 라인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비밀을 밝히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그 과정을 담았다. 면역세포인 T세포의
작동
원리를 밝혀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피터 찰스 도허티 박사와는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를 잡을 방안을 들었다. 과학은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걸 의미했다. T림프구의 킬러 본능은 자신 안에서만 발휘되는 셈이다. 면역세포가
작동
하려면 자신과 외부 물질을 동시에 인식해야 한다는 이들의 발견은 면역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핵산 백신의 개발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도 한계다. 백신의
작동
원리만 보면 예상되는 부작용은 적지만,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핵산 백신은 차세대 백신으로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국내 제약회사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터뷰를 진행했다. Q.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를 이용해 선천 면역반응의
작동
원리를 밝혀내 노벨상을 받았다. LCMV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실험에 이용한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는 치명적인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다. 오늘날 연구자들이 위험한 물질을 다룰 때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면역시스템이 오
작동
을 일으키면 내 몸의 것을 남의 것으로 인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든 자가면역질환은 현재도 고치기 힘든 난치병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전 세계에 신종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녹음기를 설치해 개구리가 짝을 찾을 때 내는 울음소리도 녹음했지요. 녹음기가 1년간 잘
작동
한다면 번식기를 알 수 있을 겁니다. 이같은 연구 방법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연구 환경이 호주가 훨씬 위험하다는 것만 빼면요. 다만, 수 년간 이뤄지는 장기 생태 연구는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시스템을
작동
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