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역할을 맡고 있는 ‘중뇌’랍니다. 뇌의 중심에 자리를 잡고 있고, 주로 눈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대뇌에서 보내는 운동 신호를 척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요. 제가 고장 나면 사람은 ‘파킨슨병’에 걸릴 수 있어요. 파킨슨병에 걸리면 운동신경에 이상이 생겨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못하다”며 “전공인 열 제어 기술을 이용해 온도를 급속도로 내리고 이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했고, 이를 바탕으로 마취용 기기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대학 재직 시절(그는 미시간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하다 올 여름 UNIST에 왔다) 이미 의사 두 명과 함께 시제품을 만들어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조종하는 사람이 초보자거나, 실수로 조종 장치를 놓치더라도 드론이 자동으로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드론에서 전송되는 영상의 화질도 굉장히 안정적이었다. 드론의 프로펠러가 돌면서진동이 발생할 텐데도 영상이 흔들림 없이 선명했다.패럿이 VR드론 분야를 선도하게 된 데는 특별한 이유가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데이터를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패했다. N-1은 작은 엔진 30개가 묶인 클러스터 로켓이었다. 수많은 엔진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해 네 번에 걸친 시험 비행에 모두 실패했고, 이는 결국 미국과 구소련의 우주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를 거머쥐게 한 결정적 사건이었다.반면 스페이스X가 지금까지 짧은 시간 내에 이뤘던 수많은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미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져 경쟁력이 없었다. 공간을 날아다니는 물건이라 제어하기 힘들어 위험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원래 생각했던 로봇, 파이보를 만들게 됐다.1인 1 로봇 시대를 꿈꾸며 그럼 라즈베리 파이로 만들어진 로봇, 파이보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아직 완성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제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노보 암컷들의 집단 체제는 특히 폭력적인 행동을 제어해야 할 때 재빠르게 가동한다. 보노보 사회가 평화로운 네 번째 이유는, 성(性)적놀이 문화다. 보노보는 성적 행동에 집착한다. 실제 암수간의 교미뿐만 아니라 수컷들끼리 혹은 암컷들끼리 교미 행동을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던 파인만이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만들고 제어하는 기술(나노기술)의 태동을 일찌감치 예견한 강연이 었다. 그로부터 반 세기가 지날 즈음 화학자들은 분자를 이용해 작은 기계들을 구현해 냈다.그리고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늘 방향으로 설계된 비행체를 떠올린다.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고 방향전환 등 비행 제어가 쉬워 가장 대중화된 드론이다. 하지만 DHL 이노베이션센터에서 본 파셀콥터는 작은 비행기였다. 역시 드론에 속하긴 하지만 날개가 있고 그 끝에 여러 개의 로터가 추가된 독특한 모습이었다. 날개가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문 교수는 “사람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유발하는 화학성분을 제어하거나, 사람들이 좋아하는 향기에 섞인 유해물질을 다른 성분으로 대체하는 데에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융합 레시피 - 존중 × 대화 두 사람의 융합 연구는 DGIST 내에서도 손꼽히는 학연상생연구의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