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생산
가공
생성
산출
연출
프로덕션
d라이브러리
"
제조
"(으)로 총 2,00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처음에 실리콘 공을 만드는 일은 컨소시엄에 속해 있지 않은 러시아에서 맡았다. 핵폭탄
제조
시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처음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실리콘 광석을 이용했어요. 하지만 계속 벽에 부딪혔죠. 공 속에 있는 실리콘 동위원소의 비율을 정확히 알아내야 하는데 이게 어려웠거든요. 적지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값을 실제 유통기한으로 정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우선 박사는 “안전계수는 식품
제조
회사에서 유통 과정의 여러 요인을 고려해 1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한다”고 설명했다.예상 유통기한이 3개월보다 길 때만약 어떤 제품의 유통기한이 3개월보다 길 것 같은 경우에는 위와 같이 실측실험을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비롯한 스마트 기술은 단순반복 조작 업무뿐 아니라 지적 업무까지 대체한다.
제조
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서도 인공지능의 수요가 늘기 때문에 그 인공지능을 개발할 고직능 근로자만 증가한다는 뜻이다. 일자리에서 양극화 현상이 일어날 게 뻔하다.그러나 이 실장은 “인공지능이 ‘대체’할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등)을 키워 만들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반면 묽은 식용 염산을 이용하면 며칠이면
제조
가 가능하다. 대량생산의 길이 열린 것이다. 게다가 분해 효율이 좋아 거의 완전한 단백질 분해가 가능해 간장의 향과 맛도 좋은 편이다(우리 몸이 맛이나 향을 느끼려면 잘게 분해된 상태의 아미노산이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몇 가지 특징이 있다. 터치형 패드, 가볍고 얇은 동체, 외장 액세서리. 모두 90년대 노트북
제조
사들의 다양한 시도의 결과다. 당장이라도 부서질 것 같은 오래된 노트북과 90년대 과학기술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도 여기 있다. 현재의 첨단 과학에 정신이 팔려 오래된 기억을 잊지 말자. 지금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다이아몬드 기판 위에 자라게 하는 방법이다. 1950년대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 화학품
제조
업체인 유니온 카바이드코퍼레이션사가 개발했다. 순수 탄소로만 이뤄진 무색 다이아몬드뿐만 아니라 질소나 붕소를 넣어 옅은 노란색이나 파란색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이 같은 합성 다이아몬드는 ... ...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아주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볼까요?※ 지난 해 ‘니콘스몰월드 미세사진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이다. 카메라
제조
사인 니콘은 1974년부터 해마다 미세사진공모전을 열고 있다. 눈으로 보기 힘든 아주 작은 생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작품만 응모할 수 있다.꽃 속에 담긴 비밀 알록달록 아름다운 빛깔과 향기를 자랑하는 꽃.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숯덩이로 남아 있었지만요. 폼페이 시민이 즐겨먹었던 물고기 젓갈인 ‘가룸’ 항아리도
제조
날짜와 장인이 표시된 채로 남아 있었답니다.이번 전시에서는 화산 폭발로 묻힌 폼페이 시민과 동물들의 석고상 6점을 포함해 당시 생활에 쓰이던 다양한 유물 298점을 전시하고 있어요. 심지어 목욕을 ... ...
[과학뉴스] 응답하라 1986, 가장 극적이었던 혜성 이야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알 수 있다. 남극 탐험을 갔다 조난당한 과학자 이야기, 당시로서는 새로웠던
제조
법으로 만든 화학물질 이야기 등을 읽자면 ‘지금은 별 것 아닌 일인데’라는 생각이 들며 슬몃 웃음이 나온다. 그리고 다른 어떤 분야보다 변화가 빠르고 큰 분야가 과학이라는 사실을 새삼 느낀다.한국에서 가장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못했다. 말 그대로 겨우 버텨왔다.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기존의
제조
업은 금속을 깎거나 금형을 만들어 플라스틱을 찍어내는 두 가지 방식이 주류를 이뤘다”며 “그동안 3D 프린팅 기술은 응용 분야를 찾지 못해 늘 고전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두회사의 3D 프린터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