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문
바닥
들창
망치
도끼의 자루
채광창
통풍창
d라이브러리
"
창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한반도 지키는 첨단 국방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나라를 지킬 '로봇병사'가 '돌격 앞으로'를 외치고 있기 때문일까.한반도를 지킬‘
창
’이자‘방패’인 국방기술을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한반도 지키는 첨단 국방기술 2. 디지털 솔저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4. 총성 없는 ... ...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됐다. 이후 그가 건물에 들어서면 컴퓨터가 켜지고 모니터에는 자신의 홈페이지
창
이 저절로 열렸다. 일반인은 아직 접해보지 못한 ‘유비쿼터스 세상’이지만 유 교수는 그것을 “장난감 수준”이라고 말한다. 몸 안에 넣는 칩의 성능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우선은 머리와 ... ...
구름의 변심,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움직이는 구름 속의 수증기들을 끌어 모아 빗방울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슬이 가득 맺힌
창
에서 물방울하나가 흘러내리면 주위에 있는 물방울과 겹치면서 점점 커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때도 단골손님이었다. 또 농부들은 타작할 때 휘두르는 도리깨를 만들었다. 서양에서도
창
이나 도끼의 손잡이에 물푸레나무를 이용했다고 한다.나무 기네스북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사람은 누굴까요? 현재 기네스북의 정확한 기록에 따르면 중국의 포우 시순이라는 남자로 그의 키는 2m 36cm라고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팽
창
속도는 우주를 이루는 물질들의 만유인력으로 인하여 차츰 감소하고 있다 팽
창
속도가 0이 되면, 그 후는 수축하는 우주로 변하게 된다중력작용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장(場) 중력을 지구표면 가까이에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라고 한다면, 지구 만유인력의 장과 지구 원심력의 장을 합한 것이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어단자이어폰이나 마이크를 연결하면 휴대전화를 직접 들지 않고 통화할 수 있다. 초
창
기에는 주로 통화용으로 쓰였다. 요즘 MP3폰에서는 스테레오 청취가 가능하다.진동 모터모터 축에 비대칭형 회전체를 연결해 모터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한다. 세탁기에서 빨래가 한쪽으로 쏠린 ... ...
우리가 몰랐던 거북선의 참모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월등히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쾌속선을 만들었고, 고려 중기에 거북선의 등판처럼 배에
창
을 꽂아 적의 접근을 막는 배가 등장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요. 그리고 고려 말 최무선에 의해 거북선의 주무기였던 화포가 개발되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40여 년 전인 15세기 중반 거북선 몸체의 기본이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좋은 것이 없다.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치안을 목적으로 오후 9시 이후에 도로 쪽으로 난
창
에 불을 켜두게 했는데 그것만으로도 어두운 거리가 밝고 안전하게 느껴져 획기적인 조명으로 평가받았다. 이후 루이 14세의 치세는 ‘빛나는 파리’와 ‘빛나는 시대’로 불리며 야간 조명은 유럽의 다른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말한다. 인터넷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웹은 우리 생활에서 세상과 사람을 잇는
창
으로 떠올랐다. e메일 날리기나 뉴스 검색, 동영상 시청은 웹의 기본 기능으로 자리 잡았다. 누구나 컴퓨터 앞에 앉아 자판을 치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전문 통계 자료나 동영상이나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시차 적응이 잘 되지 않아 한밤중에도 잠을 못 이루고 깨기를 반복하는데, 이 때
창
밖을 보면 태양이 환히 비치고 있지요. 백야는 위도 48도 이상의 고위도 지방에서 일어나는데 여름이면 북극점에서는 태양이 지평선 가까이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솟아오르는 현상이 반복됩니다.위기에 처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