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annel
체널
챈널
과정
절차
경로
주파수대
d라이브러리
"
채널
"(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배어 있었으니까요. 자, 그럼 2부에서 더욱 재미있는 내용으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채널
고정!*서까래 : 기와의 무게를 지탱해 주기 위해 지붕 아래 놓는 나무.*도리 : 서까래를 받치기 위해 기둥과 기둥 위에 얹는 나무.*주심도리 : 기둥의 중심 위에서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도리.*중도리 :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양생물과 지질, 기후변화를 연구할 수 있도록 100여 종의 첨단 장비를 갖췄다. 다중
채널
탄성파 장비는 에어건에 충전시킨 압축공기를 발사해 충격파(진동수가 작은 저주파)를 일으키는 장치다. 해저면에 부딪혀 돌아오는 탄성파를 수신하면 바다 밑을 파지 않더라도 해저면의 단층구조를 쉽게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코리아의 특징은 또 있다. 세티앳홈과 같은 기존 세티 프로젝트에서는 전파의 주파수
채널
을 아주 세밀하게 나눠 전파신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천체에서 오는 자연적인 전파신호와 구별되는 ‘인공적인’ 전파신호를 찾는 작업을 주로 했다.하지만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는 100만 분의 1초부터 0.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때는 가격에 맞춰 돈을 내. 텔레비전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챙겨 보려고 몇 시에, 몇 번
채널
에서 하는지 확인하기도 해.언제부터 우리 생활에 이렇게 숫자들이 넘쳐나게 된 걸까? 아주 옛날 사람들은 계산을 할 줄 몰라도 큰 불편함이 없었을거야. 하지만 조약돌을 세면서 수를 대신하던 시절과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변화가 있다는 얘기예요. 지층의 구조와 두께를 어렵지 않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다중
채널
탄성파 장비가 저주파를 이용한다면 다중빔 측심기는 고주파를 이용한다. 고주파는 저주파와 달리 맨 처음 만나는 장애물에서 대부분 튕겨 나간다. 따라서 다중빔 측심기를 쓰면 수심과 해저 지형의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소리를 듣고 크게 들리는
채널
은 볼륨을 줄이고, 음색이 굵은
채널
은 가늘게 만들어 모든
채널
에서 나오는 소리들이 조화를 이루게 만든다.반대로 몇몇 멤버의 목소리에만 특징을 주기 위해 음을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 요즘 슈퍼주니어가 부르는 ‘쏘리쏘리’가 좋은 예다. 박 감독은 “성민과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최소 음속 구간을 따라 전파된다. 이 소리는 아주 먼 곳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것이 음향
채널
이다. 3) 해진 후 새벽녘에는 표층의 수온이 대기 냉각에 의해 다소 낮아지게 된다. 즉 표층 내의 온도 분포가,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음속 분포에 영향을 줘 음파 경로를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제공할 뿐 아니라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해
채널
용량을 늘릴 수 있어 1석 2조인 셈이다.
채널
용량이 늘면 기지국에서 수용할 수 있는 소비자가 늘어난다.사용자에게는 배터리 사용시간이 늘어나는 장점도 있다. 김 교수는 “휴대전화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인코더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면적이 10×π×1=10·π(㎛2)인데 1㎛2당 10개의 Na+
채널
이 있으므로 세포막에는 100·π개의 Na+
채널
이 있다. 논제 1에서 1ms당 104개의 나트륨이온이 이동한다고 했으므로 유입되는 나트륨이온 수는 106·π개다. 이미 존재하는 나트륨이온에 대한 유입되는 나트륨이온 비율은 π×106/1.51× π×108 =6.62×1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서클을 만들었다. 또한 지난 2002년에는 미국의 다큐멘터리 전문 방송인 디스커버리
채널
에서 MIT의 대학생 4명과 함께 미스터리 서클을 만들었다. 그 결과 미스터리 서클을 사람이 만들 수 없다는 음모론자들의 주장은 틀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의혹➋ 1908년 러시아 퉁구스카 지방에서 대폭발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