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스타일
형식
유형
타입
형님
종류
d라이브러리
"
형
"(으)로 총 1,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석연구원은 “로봇 기술의 시작과 끝” 이라고까지 설명했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을 만드는 기술은 독일이나 일본이 가장 앞서 있습니다. 독일 DLR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소가 만든 ‘디엘알-에이치아이티(DLR-HIT) 핸드’ 시리즈가 가장 정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당 2억 원 정도의 비싼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구에서 세포를 이루는 바이오 네트워크가 외부 충격(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단백질
형
성 유전자를 없애는 식)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저항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바이오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실제 바이오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토폴로지, 즉 네트워크의 위치와 구조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
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황당맨이 만났다. 유 교수는 2007년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제올라이트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끓는 돌’로 불리는 제올라이트는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감염 환자를 방치한 것이 문제였음을 기억해야한다.의료 관리가 허술한 지역에서 성
형
수술을 받는 원정 의료 행위도 자제해야 한다. 저널 ‘병원감염’에서 영국 위크셔대의 뮈르 박사는 “시스템이 다른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의료 서비스를 받는 이른바 의료관광이 NDM-1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 사람처럼 두발로 걷게하기]제가 한국의 대표적인 로봇 휴보를 처음 만난 건 2004년 겨울입니다. 휴보가 막 태어나 관심을 한 몸에 받던 때였지 ... 10년, 20년이 더 지나면 얼마나 더 뛰어난 로봇이 나올지 궁금해집니다. 발바닥
형
과 발끝
형
의 장점만 하나로 합친 로봇이 나오지는 않을까요 ... ...
눈속임 잘 하면 '킹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성
형
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상적인 체
형
을 갖지 못했다. 자기의 외적, 내적이미지를 파악하고 옷을 통해 과학적인 착시 효과를 잘 활용한다면 단점은 가리고 장점은 부각시키는 최고의 멋쟁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
타짜는 타고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진행했다. 프리드먼 박사는 “도박에 가까운 승부(승률 50%)를 거는 사람은 대부분 MAOA-L
형
유전자였지만 전후관계를 파악해 유리하다고 판단될 때만 돈을 걸었다”며 “이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꼭 비생산적이고 폭력적이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어렵다. K학생은 무엇이든 의욕이 넘치지만 실천은 뒤따르지 못하는 ‘작심삼일’
형
태도가 가장 큰 단점이다. 선생님은 그런 K학생에게 미래의 자신에게 편지를 써보라는 조언을 건넸다. “스스로 해이해질 때마다 먼 미래의 너를 그리며 일기를 써봐.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서 대학원을 졸업하고 ... ...
Part 1. 수학천재 H군, 올림피아드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142857이 계속 반복되네요.”H군이 수학 문제를 처음 접한 때는 불과 3살. 4살이나 많은
형
이 아버지에게 덧셈 뺄셈을 배우던 걸 어깨너머로 보다가 익힌 것이다. 아버지의 칭찬에 신이 난 H군은 수학의 재미에 금세 빠져들었다. 이때 아버지의 나이는 56세였다. 사고로 거동이 불편해지신 뒤로 줄곧 ... ...
풍선으로 지구를 찍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찍은 사진이 아니라 풍선으로 찍은 사진이랍니다. 지난 9월 4일, 충남대학교
형
, 누나들이 헬륨 가스를 넣은 기상관측용 풍선에 카메라와 GPS를 달아 하늘로 띄웠어요. 이 풍선은 고도 30㎞ 상공의 대기권 밖으로까지 날아가 총 888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다양한 기상현상은 물론 둥근 지구의 아름다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