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물
혼합물
d라이브러리
"
화합물
"(으)로 총 1,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대되는 그래핀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육각형으로 결합해 벌집 형태로 넓게 연결된
화합물
이다. 이 때 탄소 원자 하나하나는 이웃한 탄소와 전자 한 쌍 반을 공유하는 ‘켤레이중결합(공액결합)’을 이룬다. 벤젠 분자와 똑같은 결합이다.이 때 한 쌍의 전자는 탄소와 탄소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시켜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1987년 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직원이었던 다나카 고이치는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유기
화합물
인 ‘매트릭스’를 이용해 단백질을 이온화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매트릭스와 단백질을 혼합해 평평한 금속판에 놓은 뒤 액체가 증발해 결정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 뒤 레이저를 쏘면 매트릭스가 ... ...
해파리 단백질로 태양광 발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반딧불, 바다팬지 등에서 추출한 발광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광원이나 마그네슘
화합물
과 같은 화학적 광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들면 나노기계의 전력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연구팀은 낮은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색소증감태양전지의 ... ...
고분자나노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부분’이라는 뜻의 ‘meros'로부터 유래한다. 즉 ‘여러 가지 부분으로 이뤄진
화합물
’이다. 간단한 구조의 원자 집단이 열이나 압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수 결합한, 분자량 1만 이상의 거대 분자를 뜻한다. 대표적인 예로 플라스틱, 고무, 섬유, 단백질이 있다. 고분자나노재료학이란 대다수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실리콘 메모리나
화합물
반도체를 개발하는 졸업생이 가장 많다”면서도 “연구실에서
화합물
반도체의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꿈을 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수의 비법전수공학 분야에서 전문가란 많은 지식을 암기한 사람이 아니다. 예상치 못한 일을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다양한 해석이 도출되기 보다는 명확한 답이 분명히 존재한다. 시스(cis), 트랜스(trans)
화합물
의 발열량과 분리방법은 분자의 안정성과 분자간의 인력이라는 개념을 이용해 풀 수 있다. 그나마 광학이성질체의 분리가 창의력을 요구하지만 제시문에 해결 방향이 나타나 있다.생물의 경우 호르몬과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최고의 시간이었다. 좋은 연구 시설에서 좋은 동료들과 함께
화합물
반도체와 LED소자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유수 기관을 경험하며 우리 연구실의 세계적인 수준을 몸소 깨달았다.현재 우리 연구실을 졸업한 연구원들은 LED, 반도체 관련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먼저 물리학 지식이 필요하다. 또 재료의 전자적인 물성을 공부해야 한다. LED에서는
화합물
반도체 박막을 성장시켜 이를 반도체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박막의 성장 및 물성 평가를 다루는 박막공학도 매우 중요하다. LED가 실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소자를 설계하기 위한 전자공학을 배워야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혈액보다는 지방 조직에 더 높은 농도로 축적돼 있다. DDT는 벤젠고리가 두 개 있는 유기
화합물
이므로 혈액보다는 지방 조직에 더 잘 녹는다. 이로 인해 물에 포함돼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생물농축이 일어나는 원인이 된다.3) 신경세포에서 나트륨 이온의 불균등 분포는 칼륨 이온과 함께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산화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반응들은 모두 산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화합물
들이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음식물 대사과정인 세포호흡의 주요 중간산물일 것으로 추측했다. 크렙스는 조직표본(간, 근육 현탁액)을 이용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관찰 결과를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