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뉴스
"
교과서
"(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인공지능 로봇 모의시험 결과가…도쿄대 합격할까?
동아일보
l
2014.11.03
푸는 문제에 약하다. 물리에서도 물체 크기를 분간하지 못하고 단순한 점으로 취급했다.
교과서
에서 가르치지 않는 상식이나 '사회정의' 같은 어휘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했다. 연구팀은 "도쿄대에 합력하려면 적어도 90점 이상 받지 않으면 안 된다. 좀 더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생명이란 무엇인가’다. 아직 생명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생물학
교과서
에서도 그저 생명의 몇 가지 특성을 정리한 수준이다. 김 교수는 이런 상황도 책에 설명했다. “한 마디로 딱 부러지게 말할 수 없는, 같은 듯 다른 아니 다른 듯 같은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생명의 매력이 ... ...
수학과 역사,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2014.10.13
정인지에게 ‘계몽산’을 배우기도 했다. 계몽산은 조선시대에 통용됐던 일종의 수학
교과서
다. 수학에 대한 세종의 열의는 마방진에서도 드러난다. 이 교수는 세종이 마방진을 통해 새로운 조선의 모습을 발견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를 보여주며 마방진 이야기를 풀어냈다.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장소세포를 연구하며 자연스레 오키프 교수와 그의 연구실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교과서
처럼 읽으며 연구를 진행했다. 박사 학위 심사를 앞두고, 나의 지도교수인 올 폴슨(Ole Paulsen) 교수가 이 분야의 권위자이자 자신의 오랜 지인인 오키프 교수에게 박사학위 외부 심사위원을 부탁했고, 오키프 ... ...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30
특집과 기획 기사, 흥미진진한 과학 실험 기사, 현직 과학 선생님이 직접 쓰는 과학
교과서
파헤치기 등 만화만큼이나 다양하고 재미있는 기사가 가득하다. 특집 기사는 2009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에서 과학언론상을 수상해 과학언론으로서의 우수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년 수능에 ‘태양계 행성은 9개다’라는 항목이 나왔는데 이를 ‘옳음’으로 처리했다면(
교과서
에 그렇게 나와 있다는 논리로) 난리가 났을 것이다(2006년 8월 명왕성이 행성에서 퇴출되면서 태양계 행성은 8개가 됐다). 지난 주말 신문 북섹션에 ‘지식의 반감기’라는 책이 소개됐다. 반감기란 ... ...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장만하느라 분주해 진다. 빛을 이용해 포도당을 생산하는 이 과정은 ‘광합성’이다.
교과서
에서도 나오는 아주 친숙한 용어이지만, 사실 광합성의 자세한 과정 중에는 과학자들이 아직 풀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남원우 이화여대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특히 광합성 반응을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교수는 2010년 ‘미래 대통령을 위한 물리학과 기술’이라는
교과서
를 집필했다. 현재 이
교과서
는 스탠퍼드대를 비롯해 미국 내 50여 개 대학에서 교양필수서로 채택돼 사용되고 있다. 뮬러 교수는 2012년에는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를 펴냈다. 뮬러 교수는 저명한 핵물리학자로 초신성 ... ...
“사회적 합의 없는 교육과정 개정안은 무효”
2014.09.03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작년에 미국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를 보고 수준이 높은 것에 몹시 놀랬다”며 “우리 과학 교육은 이보다 깊이와 내용이 부족한 상황인데, 여기서 더 축소된다면 미래의 과학자가 현재 세대가 이룬 정도의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을지 ... ...
[이주의 과학신간] 필즈상 수상자의 고백
2014.08.17
과학에 대한 그의 열정이 고스란히 묻어난다. 또 이런 과학자의 열정과 노력을 통해
교과서
에서 배우는 ‘줄의 법칙’은 더욱 소중하게 다가오기 마련이다. 책에는 뉴턴부터 파울 에를리히까지 여러 과학자의 생애와 함께 꿈의 소재인 초전도체 이야기도 담겨 있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