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접
접근
접촉
가까움
이웃
근교
근처
뉴스
"
근접
"(으)로 총 64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진정한 삼원색 표현하는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3.07
가까운 빛을 발할 수 있다. 박 선임연구원은 “현재 기술로 진정한 삼원색을 가장
근접
하게 표현하는 건 퀀텀닷”이라며 “퀀텀닷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기존 디스플레이보다 뛰어난 건 바로 이런 순도 높은 색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더 알아보기 퀀텀닷의 색 표현 ... ...
환경·해양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사 뒤 2주 정도가 지나면 표류궤도(정지궤도에 거의
근접
한 궤도)에서 고도를 높이고 한반도 상공인 동경 128.25도에 진입한다. 발사 약 한 달 뒤에는 목표 정지궤도에 자리 잡게 된다. 천리안 2B호는 2018년 12월에 발사한 기상관측용 천리안위성 2A호의 쌍둥이 위성으로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아로코스’로 바꿨다. 뉴호라이즌스호는 지난해 1월 1일 아로코스를 3500㎞ 가까이
근접
비행하며 영상을 촬영해 지구에 보내왔다. 지름 14㎞와 19㎞인 납작한 모양의 천체가 합쳐져 눈사람처럼 생긴 독특한 모습을 가져 과학계의 관심이 더욱 커졌다. 당시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가 지난해 5월 ... ...
‘방·단 갑옷’ 입은 태양 극지 탐사선, 600도 고열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려면 600도가 넘는 고열을 견뎌야 한다. 수성은 태양에 가장
근접
할 때 태양과의 거리가 약 4600만km로 이때 수성 표면은 430도까지 올라간다. 납을 녹일 수 있을 정도의 뜨거운 온도다. 실제로 약 15억 달러를 투입해 개발한 솔라 오비터에는 다양한 열 차폐 기술이 ... ...
대기업이 선택한 국산 자율주행운반차...세계 수준 맞먹는 정지기술 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무선 방식의 장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유선 방식에
근접
하는 위치 정밀도가 필요한 이유다. 조 박사는 “AGV의 위치 정밀도는 시장진입과 장비신뢰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AGV가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지 못하면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장 ... ...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 발사 성공..."태양 남북극 관측 첫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1976년 각각 발사된 독일(구 서독) 우주국 및 NASA의 태양관측선 헬리오스-A와 B는 태양에
근접
해 관측을 시도했다. 이들은 이번 솔라 오비터가 접근한 것과 거의 비슷한 수준인 태양 지름의 63배 거리까지 접근해 태양을 자세히 관측했다 ... ...
수성보다 더 가까이서 태양 지켜볼 우주망원경 금주 발사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1976년 각각 발사된 독일(구 서독) 우주국 및 NASA의 태양관측선 헬리오스-A와 B는 태양에
근접
해 관측을 시도했다. 이들은 이번 솔라 오비터가 접근한 것과 거의 비슷한 수준인 태양 지름의 63배 거리까지 접근해 태양을 자세히 관측했다 ... ...
원자력硏 방사성물질 누출 사고는 사실상 ‘인재’…운영미숙으로 오염수 유출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우수관을 따라 맨홀 내의 토양시료에 대한 방사선량을 측정한 결과 자연증발시설에 가장
근접
한 첫 번째 맨홀에서 최대선량을 확인했다. 첫 번째 맨홀 토양의 핵종별 농도를 분석한 결과 세슘137은 kg당 3만1839배크렐(Bq/kg), 세슘134는 101Bq/kg, 코발트60은 192Bq/kg이 검출됐다. 이같은 KINS 사건조사팀 ... ...
[우한 폐렴 비상] 질병관리본부장 일문일답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비행기 내 동선을 먼저 파악할 예정이다. 비행은 3시간 이내로 비교적 짧았다. 앞뒤
근접
한 좌석에 있는 승객과 이 환자를 담당했던 승무원 등을 밀접 접촉자로 분류해서 관리할 예정이다. 전체 탑승자 명단은 파악 중이다” Q. 최근 세계보건기구(WHO)나 중국에서 제기되고 있는 사람 간 감염 ... ...
'미니장기'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수정란)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윤리 논쟁이 있고 역분화줄기세포는 치료 단계에
근접
했지만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사용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적용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반면 성인의 특정 장기나 조직의 성체줄기세포를 빼내 만든 오가노이드는 이런 문제가 없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